국정기획위 파견 공무원 하루 ‘일당 2만원’ 볼멘소리

국정기획위 파견 공무원 하루 ‘일당 2만원’ 볼멘소리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7-06-07 22:32
업데이트 2017-06-0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원금 세종 KTX 편도요금뿐… 원거리 통근자 찜질방서 자야

“5년간 잘나갈 텐데…” 반론도

중앙행정기관의 비현실적인 파견 공무원 수당 탓에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파견된 세종시 공무원들이 출퇴근에 애를 먹고 있다.
국정기획위에는 국무조정실 1차장과 24개 기관의 기획조정실장이 실무위원으로 파견돼 있으며 약 30명의 공무원이 지원단에서 일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식 파견이 아닌 ‘지원’ 형태로 행정자치부 등 인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나와 있는 공무원들도 있다.

파견 공무원의 수당은 인사혁신처에서 파견을 보내는 기관과 받는 기관의 관계를 고려해 부처 간 교류수당 명목으로 지급한다. 지방공무원은 원소속 지방자치단체에서 교통비와 월세 등의 비용을 계산해 지급받지만 중앙기관 소속 공무원들에겐 주택보조비 등이 지원되지 않는다. 인사처는 부처 간 교류 수당으로 6급 이하는 월 20만원, 4·5급은 30만원을 주고 있으며 3급 이상의 공무원에겐 수당이 지급되지 않는다.

국정기획위 파견 공무원들은 현재 하루 2만원의 시내 교통비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직원은 “예전엔 인수위라고 하면 어깨에 힘주고 다녔는데 이번엔 일만 많고 특권은 8000원짜리 식권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제는 파견 공무원 중 상당수가 세종시에서 출퇴근하고 있다는 점이다. 2만원은 KTX 오송역~서울역 구간의 편도 운임(1만 8500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한 부처의 국장은 “숙박비가 따로 없어 원거리 거주 공무원들이 자기 돈을 안 쓰려면 찜질방에서 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직사회에서는 ‘국정기획위에 파견됐으니 앞으로 출세는 보장됐고, 그 정도 고통은 감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게 나온다.

한 공무원은 “파견 다녀오면 적어도 새 정부 5년간은 잘나갈 텐데 그깟 돈 몇 푼이 중요할까”라면서 “아마 사무실에서 간이침대를 펴고 자도 피곤한 줄 모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사처는 “국정기획위 파견 4급 이하 공무원들에게는 원소속 기관의 돌아오는 급여일에 교류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7-06-08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