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완료 대선 이후로…한미 “4월 물리적 불가”

사드 배치완료 대선 이후로…한미 “4월 물리적 불가”

입력 2017-04-17 15:45
업데이트 2017-04-17 1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위 당국자 “부지공여 이후 레이더 등 나머지 장비 반입될 것” 한미, 금주 부지공여 합의…배치완료 시기 韓 차기정부서 결정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은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관련, 우리나라 대선 이전인 4월에 배치 완료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사드 레이더 등 추가 장비는 다음 달 9일 대선 이후 한국에 반입되고, 배치 완료 시점은 차기 정부와 협의해 정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17일 “사드 레이더 등 후속 장비는 한미간 사드 배치부지 공여에 합의 서명한 이후 적정한 때에 반입될 것”이라며 “이번 주 부지 공여에 서명하더라도 대선 이전에 장비 반입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한미는 이번 주말께 사드 부지로 확정된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을 주한미군에 공여하는 데 합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주말께 공여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대선 이후에 후속 장비가 반입되고, 배치 완료 시기도 차기 정부와 미국 측이 협의해서 정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다른 당국자는 “사드 레이더가 한국에 아직 전개되지 않았다”면서 “부지 공여 절차가 모두 끝나야 미국에서 장비 전개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사드 배치가 대선 이후에 마무리되는가’라는 질문에 “현재 진행 상황을 봐서는 단기간에 마무리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북한 핵문제 해결 차원에서 사드 배치 일정을 조정하는 것 아니냐고 관측하고 있다.

이에 문 대변인은 “한미는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주한미군 사드 체계의 조속한 작전운용 준비를 차질없이 진행한다는 기본 입장에 변함없다”면서 “관련 내용을 미국 부통령 측에서도 언급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의 방한 길에 동행한 백악관 외교정책 고문은 사드 배치에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며 “(한국의) 차기 대통령의 결정으로 이뤄지는 게 맞다고 본다”고 말해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지난 2월 사드 배치 부지 확보 문제가 마무리됐을 때 이르면 4월 말 또는 늦어도 5~7월 사이에 배치가 완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 바 있다.

국방부는 올해 중으로 사드를 배치해 작전 운용한다는 것이 한미 당국의 입장이라고 밝혀왔다.

미측은 지난달 6일 C-17 대형 수송기를 이용해 요격미사일을 쏘는 차량형 발사대 2기를 포함한 일부 장비를 반입한 바 있다.

경북 성주골프장에 배치될 사드 1개 포대는 통제소와 사격통제레이더 1대, 발사대 6기 등으로 구성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