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통합정부론’…일주일 만에 대권 꿈 접은 김종인

미완의 ‘통합정부론’…일주일 만에 대권 꿈 접은 김종인

입력 2017-04-12 15:42
업데이트 2017-04-12 15: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탈당 후 ‘非文연대’ 꿈꿨으나 구심점 없어 좌절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 대표가 12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대선 출마 당시 이루겠다던 ‘통합정부’의 꿈도 미완으로 남게 됐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지 7일 만에 불출마 의사를 밝힌 이 날은 민주당을 탈당한 지난달 8일부터 계산하면 38일째 되는 날이다.

자신을 뒷받침할 든든한 세력이 없는 와중에 탈당한 김 전 대표는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문재인 대세론’에 대항할 ‘비문연대’의 핵심인물로 주목을 끌기도 했다.

진영논리에서 자유로운 ‘경제민주화’라는 보편적 가치를 손에 쥐고 중도·보수는 물론 진보층까지 아우를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그가 ‘비문연대’를 이끌어낼 수 있느냐에 쏠렸다.

김 전 대표는 대선 출마를 목전에 두고 연합뉴스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마음 둘 곳을 못 찾은 부동층이 엄청나게 많다”면서 “40%가 넘는 부동층, 비판적 합리주의자가 정권창출의 핵”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김 전 대표는 탈당 후 정치인들을 두루 만나며 이른바 ‘빅텐트’ 구상의 현실화를 모색했다.

국민의당 경선이 시작하기 전까지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고 이후에는 정운찬 전 국무총리,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후보와 김무성 의원, 남경필 경기지사와 잇따라 회동하는 등 폭넓은 행보를 보였다.

김 전 대표가 탈당에 이어 대선 출마를 선언하자 민주당 내 ‘김종인계’로 분류된 이언주 의원과 최명길 의원이 탈당한 데 이어 추가 탈당설이 나오며 ‘문재인 대세론’에 타격을 주는 변수가 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왔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계파가 없는 덕에 범보수와 중도 진보 진영을 아우르는 ‘광폭 행보’가 가능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민주당 내 비주류에 한정된 그의 세력은 결국 대권의 꿈을 밀고 나가는 데 걸림돌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제 시선은 김 전 대표가 대선 레이스에서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을 할지, 한다면 누구를 지지할지 등에 모아진다.

김 전 대표는 대선 출마기자회견 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냐는 물음에 “내가 ‘킹’을 한다고 하지 않았나”라며 “‘킹메이커’를 한다는 얘기는 어울리지 않고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러나 민주당 내 ‘친문 패권’을 강하게 비판하며 탈당한 김 전 대표가 대선이 가까워져 올수록 안 후보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 전 대표가 대선 불출마를 알리는 입장문에서 “국민께서는 지난 15년간 이 나라를 패권적으로 운영해 온 소수의 책임자를 제외하고 모두 힘을 합치라는 명령을 하고 계신다”고 밝힌 것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는 해석이다.

다만, 김 전 대표의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통합정부론’의 비전을 밝혀놨으니 누가 그 비전에 가까운 후보인지 국민이 합리적으로 선택할 것으로 보지 않겠나”라는 말로 이런 해석에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