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6일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과 관련,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안보무능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사실상 경질론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 이언주 원내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이번 지뢰사건이 발생한 초기, 그리고 사건 진행과정에서 김관진 실장은 보이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태 때도, 메르스 사태 때에도 그리고 이번 지뢰 폭발 사건 때에도 박근혜정부의 컨트롤타워는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사건 발행 후 나흘만에 개최된 점, 대통령 보고 시점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점, 최윤희 합참의장의 지뢰도발 사건 다음날 음주회식 논란 등을 거론, “국가안보실이 처음부터 사태 파악을 잘못한데 이어 상황파악 능력과 대처에 상당한 문제를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국가안보와 관련한 총체적 혼선은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1차적으로 국가안보를 총괄하는 책임을 진 김 실장의 무능함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청와대는 이번 국가안보 시스템의 혼선을 초래한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엄중 문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새정치연합 이언주 원내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이번 지뢰사건이 발생한 초기, 그리고 사건 진행과정에서 김관진 실장은 보이지 않았다”며 “세월호 사태 때도, 메르스 사태 때에도 그리고 이번 지뢰 폭발 사건 때에도 박근혜정부의 컨트롤타워는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사건 발행 후 나흘만에 개최된 점, 대통령 보고 시점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는 점, 최윤희 합참의장의 지뢰도발 사건 다음날 음주회식 논란 등을 거론, “국가안보실이 처음부터 사태 파악을 잘못한데 이어 상황파악 능력과 대처에 상당한 문제를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국가안보와 관련한 총체적 혼선은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1차적으로 국가안보를 총괄하는 책임을 진 김 실장의 무능함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청와대는 이번 국가안보 시스템의 혼선을 초래한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엄중 문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