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SLBM, 국제사회 대응방안 다각 검토”

정부 “北 SLBM, 국제사회 대응방안 다각 검토”

입력 2015-05-12 15:30
업데이트 2015-05-12 15: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케리 방한 소통강화 계기…北SLBM 논의 기대””파키스탄 헬기사고 외교사절 사망, 깊은애도”

정부는 12일 북한의 전략잠수함 탄도탄(SLBM) 수중 시험발사 성공 발표와 관련해 “미국 등 우방과의 협의를 기초로 국제사회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다각적으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요 관련국들과의 긴밀한 공조하에 정보와 평가를 공유하면서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노 대변인은 국제사회 대응방안에 “유엔(UN)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노 대변인은 “대북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모든 발사를 금지하고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모든 활동을 중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안보리 결의사항 의무를 성실히 준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는 17~18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방한시 “북한의 SLBM 시험발사 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변인은 18일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케리 장관의 회담이 있을 예정이라면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재확인하고, 북한 도발에 대한 강력한 공동 대응 의지를 확고히 하는 한편, 글로벌 파트너로서 지역 및 범세계적 현안들에 대한 소통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양 장관은 이번 회담을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준비를 포함한 양국간 현안, 북핵 및 북한 문제, 동북아 정세, 범세계적 차원의 협력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있는 의견 교환을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변인은 “케리 장관은 18일 오전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한일문제가 다뤄질 것이냐는 질문에는 “양 장관 간에는 동북아지역의 평화 안정에 기여하는 여러 사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언급으로 즉답을 피했다.

노 대변인은 파키스탄에서 외교사절이 타고 가던 헬기가 추락, 파키스탄 주재 노르웨이 대사와 필리핀 대사, 말레이시아 및 인도네시아 대사 부인 등이 숨진 것으로 전해진 것과 관련해 “사망하신 분들과 가족분들에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면서 “부상한 분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