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기의 스크린1인치]지울 수 없는 슬픈사랑의 연가

[이경기의 스크린1인치]지울 수 없는 슬픈사랑의 연가

입력 2004-12-23 00:00
업데이트 2004-12-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내 머리속의 지우개-손예진.정우성
영화 내 머리속의 지우개-손예진.정우성
흰 비둘기에 실어 보낸 애절한 사랑 ‘라 팔로마’(La Paloma).

‘창가에 비둘기 한 마리가 오거든 그 새를 애정으로 대해 주세요. 그 새는 저의 인격체입니다. 내 삶에 대해서, 사랑에 대해서 내 생명의 행복이여. 그녀에게 당신의 사랑을 이야기하세요. 그래, 그래 예쁜 여자야, 제발 그렇게 해다오.’

스페인 출신 세바스틴 이라디에르가 작곡한 ‘La Paloma’가 정우성, 손예진 주연의 멜로물 ‘내 머리속의 지우개’의 테마곡으로 삽입되면서 국내 음악 애호가들의 환대를 받고 있다.

‘비둘기’라는 뜻을 갖고 있는 이 노래는 1960년대부터 국내 음반 시장에서는 거의 민요처럼 각광받고 있는 노래중 하나.

남편과 부인을 각각 백혈병으로 잃게 된다는 ‘편지’ ‘선물’에 이어 여성 관객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던 ‘내 머리속의 지우개’는 갓 결혼한 부인에게 갑자기 발병한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인해 심적 고통을 당하게 된다는 남편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건설 회사 사장의 천방지축 장녀 김수진(손예진)이 아파트를 짓는 아빠의 건설 현장에 따라온다. 건설 진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현장으로 떠난 아빠. 홀로 자동차 안에 남겨진 수진은 차안의 오디오를 튼다.

방송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청취자가 신청한 곡’이라며 들려주는 노래가 바로 ‘라 팔로마’다. 이 노래는 극중 수진과 공사판을 전전하는 일꾼이지만 후에 건축사로 자립하는 철수(정우성)와의 사랑의 메신저 송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라디에르(1809.1.20.∼1865.12.6.)는 한때 파리에서 프랑스 왕비의 음악 교사로 재직할 정도로 실력을 인정 받은 작곡가. 전성기 시절 ‘Chanson Espagnole’ ‘La Calasera’ ‘La Paloma’ ‘La Rubia de los lunares’ 등의 곡을 발표했다.

그가 1830년대 쿠바를 여행하다 접한 아바네라 음악에 매료돼 이 선율을 배경으로 즉석에서 작곡했다는 곡이 ‘라 팔로마’다. 열정과 춤의 나라 쿠바를 상징하는 아바네라(habanera)는 4분의 2박자의 춤곡. 스페인에서 발생했지만 쿠바에서 번성했고 아르헨티나 탱고가 탄생되는 토양을 제공했다. 이라디에르는 쿠바 체류 중에 ‘라 팔로마’외에 ‘엘 아레글리토’를 발표했다.

이들 곡에서 시도한 리듬은 1875년 파리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초연된 비제의 마지막 오페라이자 최고의 걸작 ‘카르멘’과 라벨이 1908년 완성한 ‘밤의 전주곡’ ‘말라게냐’ ‘아바네라’ ‘축제’ 등 4부분으로 구성된 관현악곡 ‘스페인 광시곡’에서 차용해 더욱 유명세를 얻게 된다.

‘라 팔로마’는 쿠바의 아바나 항구를 떠나는 배에 실려 보낸 비둘기를 통해 자신의 순정을 보내는 한 남자에 대한 구구절절한 연정(戀情)을 표현한 노래이다.

훌리오 이글레시아스를 비롯해 트리오 로스 판초스(Trio Los Panchos) 등이 취입한 노래가 유럽 음악권에서는 환대를 받았다.

“사랑은 움직이는 거야.”라며 감각적인 디지털 사랑이 난무하는 세태에 반기를 들듯 치유될 수 없는 환자로 돌변한 연인을 향해 지고지순한 애정을 드러내 눈시울을 적시게 만들었던 영화가 ‘내 머리속의 지우개’다.

사운드트랙에는 여성 중창단 빅마마 멤버 신연아의 보컬에다 프랑스 출신 가수 알렉산드레 보스키가 후렴구를 보태 극에서 전개되는 두 남녀의 애절하고 가슴 시린 사랑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주는 데 일조했다.
2004-12-23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