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만 내며 살기엔 우리인생 너무 짧지 않나요

화만 내며 살기엔 우리인생 너무 짧지 않나요

입력 2012-12-29 00:00
수정 2012-12-29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에 대하여】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사이 펴냄

‘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나는 성.’ 인간의 좋지 않은 기분상태인 ‘화’에 대해 사전은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아주 먼 옛날부터 현인들은 ‘화’를 나와 남을 해치는 악으로 경계해왔다. 하지만 한쪽에선 아주 적은 경우이지만 거꾸로 ‘선을 위한 방편’으로 여기기도 했다. 그러나 동서양을 떠나 화는 대체로 미리 예방하고 물리쳐야 할 보편의 해악이다. 그러면 화는 왜 생기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화에 대하여’(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지음, 김경숙 옮김, 사이 펴냄)는 2000년 전 고대 로마의 대표적 철학자인 세네카(기원전 4년~기원후 65년)가 화의 생성 원인과 속성, 그리고 예방하고 물리치는 법에 대해 아주 세밀하게 정리한 책이다. ‘화를 가라앉히는 방법을 책으로 써달라.’는 동생 노바투스의 부탁에 써낸 서간집. 요즘 철학자며 종교인들이 쏟아내는 ‘화’에 대한 정의며 대처법이 망라된, 어찌 보면 화를 천착한 최초의 철학적 통찰이라는 점에서 흥미를 더한다.

세네카라면 ‘고대 로마의 대표적 철학자이자 정치인’이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비운의 생을 살았던 인물이다. 34세에 정계에 입문한 뒤 연루된 음모로 8년간 유배 생활, 정계 복귀 후 네로 황제 소년 시절 5년간 가정교사 생활, 네로의 황제 등극 후 10년간 자문 역할을 했지만, 제자였던 네로 황제로부터 자살 명령을 받고 가족 앞에서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 범상치 않은 삶 때문에 세네카가 유배 시절 썼다는 이 책은 더 설득력이 있다.

그러면 화는 왜 생기는 걸까. 이 질문에 세네카는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믿음’과 ‘나는 잘못한 게 없다는 생각’ 때문이라고 명쾌하게 말한다. 그래서 그 화를 미리 막을 수 있는 건 다름 아닌 의지다. 모든 이들이 화는 어쩔 수 없이 생기고 피할 수 없다지만 본인의 의지에 의해 그 해악을 방지하고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화를 내는 것도 습관이라고 볼 때 어려서부터 양육이 중요하다는 당부도 눈길을 끈다.

물론 화를 막고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유예와 숨김’이다. 노예를 채찍질하려다 자신이 화의 노예가 되었음을 바로 알아차리곤 채찍 든 팔을 공중에 치켜든 채 어정쩡하게 서 있었다는 플라톤의 일화가 그 치료의 한 방법이다. 잔혹성으로 악명높은 칼리굴라 황제를 비롯해 화로 인해 자멸과 비극을 불렀던 인물, 그리고 거꾸로 화를 다스려 후대의 존경을 받는 인물들을 대비시켜 ‘화는 인간의 의지와 이성을 통해 다스릴 수 있다.’고 역설한다. 독자들이 선뜻 받아들일 수 없는 화의 다스림법일 수 있지만 결코 평탄하지 않았고, 누구 못지 않게 비극적 생을 살았던 세네카의 이 말은 예사롭지 않다. “화를 내 이기는 것은 결국 지는 것이며 화를 내기에는 우리 인생이 너무 짧다” 1만 3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12-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