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0>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50>

입력 2013-06-07 00:00
업데이트 2013-06-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척후로 나갔던 곽개천은 중도에서 벌어진 사단으로 말래 도방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정한조는 돌아온 그를 데리고 북적거리는 도방을 나와 근처의 호젓한 숫막으로 찾아들었다. 내왕이 번다한 술청을 피해 구석진 골방을 골라 그와 마주 앉았다. 엿듣는 사람이라도 있을까 해서 쪽마루로 통하는 지게문을 열고 마당가며 울타리 밖까지 살핀 다음 자못 긴장한 표정으로 귀엣말로 속삭였다.

“임자, 내 말을 귀여겨듣게. 방귀 소리라 하더라도 귀 너머로 흘려선 안 되네.”

“성님 말씀, 제가 듣고 귀양 보낸 적이 있었습니까.”

“내가 가슴속에 넣어만 두고 발설하지 않았던 몇 가지 얘기가 있네.”

“말씀만 하시지요.”

“첫째는 그 유명한 송파장 쇠살쭈였다는 천봉삼이란 위인 말일세.”

부리를 헐려는데, 곽개천은 냉큼 정한조의 말을 가로챘다.

“그놈이 본색을 숨기고 송파장 천봉삼이라고 거짓 둘러대고 있는 줄은 저도 짐작하고 있습니다.”

“임자가 눈치채리란 것도 짐작했네. 내가 길세만이나 박원산, 권영동 같은 동무들을 지목하여 십이령 길목에 있는 고샅길이나 토굴 하나도 놓치지 말고 적당들의 동정을 샅샅이 염탐하라고 삼이웃이 떠들썩하도록 북새통을 피운 것은 천봉삼으로 사칭하는 그놈도 눈치채라고 조처한 것일세.”

“성님은 어떻게 눈치챘습니까?”

“눈치채게 된 것에는 두 가지 까닭이 있었네. 첫째, 그 위인이 궁색한 변설을 늘어놓긴 하였으나, 낙상으로 병색이 뼛속까지 스며들어 굴신을 못 하는 주제인데도 우리가 잠깐 한눈이라도 팔면 장달음 놓을 궁리만 하고 있었다는 것이네. 위인이 주렸던 배도 차고 휘지고 마른 뼈에 살이 붙자, 틈만 나면 자취를 감추고 가로새려하지 않았나. 둔적하여 은신한 위인을 찾아낸답시고 우리 행중이 몇 차례나 고초를 겪었지. 둘째, 위인이 적굴에는 조련으로 단련된 7, 80여 명이나 되는 화적들이 기거하고 있고, 화승총 든 놈들만도 얼추 30여 명을 헤아린다고 떠벌렸는데 모두 거짓이지 않았던가. 왜 그랬을까. 우리 상단의 세력이 강건하다 할지라도 감히 적굴에 덧들일 엄두를 못 내게 하려는 술책에서 나온 거짓 발명이 아닌가. 내가 짐작하기로는 적소에는 많아야 30여 명이 기거할 테고, 화승총 가진 놈들도 끽해야 열을 넘지 않을 것이야. 그놈은 흥부장의 해물 저자와 접소의 행상들, 해안의 염호들 동정을 소상하게 염탐하려고 찾아온 염탐꾼이 틀림없네. 심지어 흥부장에서 울릉도로 가는 소금 배들의 해로까지 염탐하려 했을 것이야. 그놈이 우리들에게 보여 준 송파 임소의 척문은 진짜 천봉삼을 잡아 업치고 빼앗은 것일 터. 그 척문을 손에 넣은 뒤 우리의 행적을 찾아 무작정 십이령을 넘다가 낭떠러지 위에서 실족하여 눈밭에 굴러떨어진 것이야. 적소에 있는 산적들의 수효가 궐자의 말대로 30여 명이라면 제아무리 완력 드센 놈이라 할지라도 감히 단신으로 다시 적굴로 숨어들어 제 식솔을 구명할 엄두가 나겠는가. 올곧은 정신 가진 놈이라면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우리 상단의 도움을 얻어 식솔을 구명하려 했겠지.”

2013-06-07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