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투석 전 시행하면 생존율↑

신장이식, 투석 전 시행하면 생존율↑

입력 2018-01-31 16:41
업데이트 2018-01-31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장이식 수술. 서울아산병원 제공
신장이식 수술. 서울아산병원 제공
신장 이식수술을 받기 전 투석기간이 짧을수록 이식 후 생존율이 높고 거부반응도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신장이 망가져 수술을 받는 환자는 10명 중 4명꼴로 크게 늘었다.

한덕종·김영훈·신성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은 2005~2016년 신장을 이식받은 환자 2898명의 사례를 분석해 31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투석 전 신장 이식을 받았거나 투석 치료 기간이 19개월 미만으로 짧았던 환자군의 이식 후 생존율은 각각 평균 99.3%와 99.0%였다. 반면 19개월 이상 투석한 환자군의 생존율은 97.2%로 비교적 낮았다. 또 19개월 이상 투석을 계속한 환자군의 이식 거부반응률은 22.8%로 투석 전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17.1%), 19개월 미만 환자군(16.8%)보다 높았다.

한편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으로 신장이 망가져 이식수술을 받는 환자가 최근 급증하는 추세다. 1990~2010년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 중 당뇨병 환자와 고혈압 환자 비율은 각각 11%, 4%였다. 2011년부터 올해 1월까지 조사한 결과 이 비율이 25%, 14%로 2배 이상 늘었다.

한 교수는 “만성질환 관리로 신장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적합한 기증자만 있다면 장기간 투석을 받는 것보다 빨리 신장 이식수술을 받는 것이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