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윤리위, ‘낚시성 제목’ 무더기 위반 언론사 제재 강화

신문윤리위, ‘낚시성 제목’ 무더기 위반 언론사 제재 강화

입력 2017-04-20 10:07
업데이트 2017-04-20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문윤리위원회가 소위 ‘낚시성 제목’ 등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의 같은 조항을 무더기로 위반한 언론사에 대한 제재를 강화했다.

20일 신문윤리위에 따르면 최근 신문윤리위 회의에서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의 같은 조항 위반으로 한 번에 9건 이상 지적을 받을 경우 제재 수위를 현재 ‘주의’에서 ‘경고’로 격상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언론사의 동일 조항 무더기 위반 행태가 반복되는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월 신문윤리위 회의에서는 모 스포츠신문의 기사 9건이 무더기로 상정됐는데, 이들 기사는 모두 신문윤리실천요강 제10조 ‘편집지침’ 상 ‘표제의 원칙’을 위반했다는 판단을 받았다.

‘표제의 원칙’은 “신문의 표제는 기사의 요약적 내용이나 핵심적 내용을 대표해야 하며, 기사 내용을 과장하거나 왜곡해서는 안 된다”는 것으로, ‘낚시성 제목’을 금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스포츠지는 포털에 올린 기사에서 본문에 없는 내용이나 편집자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제목을 달았다.

가령 한 배우가 지난해 연말 방송사 연기대상 시상식에서 특별상을 받아 각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제목에 “시청자 멱살 잡은 미친 존재감”이라는 표현을 넣었다.

회의에서는 이 같은 표현이 어법에도 맞지 않고, 자극적인 표현으로 독자의 호기심만 유발할 뿐 기사 내용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 신문은 또 여성그룹 멤버가 속옷 차림으로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여러 장 공개했다는 내용의 기사 제목에 “도저히 봐줄 수 없는 지나친 행보…상담 필요”라는 제목을 달아 여가수를 비하하는 듯한 표현을 하기도 했다.

신문윤리위는 이 회의에서 이 신문의 기사 9건에 대해 각각 ‘주의’ 제재를 결정했지만, 향후 유사 행위에 대해서는 제재수위를 한 단계 올려 ‘경고’ 처분하기로 했다.

신문윤리위는 “몇몇 언론사들이 매월 ‘표제의 원칙’ 위반으로 3건에서 10여건까지 무더기로 제재를 받아왔다”며 “온라인신문은 조회 수가 수익과 비례한다는 통념에 젖어 자사 기사를 하나라도 더 부각하기 위해 제목을 과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관행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