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클래식 공연 공연수준 좋은예, 좌석관리 나쁜예

국내 클래식 공연 공연수준 좋은예, 좌석관리 나쁜예

입력 2010-05-18 00:00
업데이트 2010-05-18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름깨나 알려진 클래식 공연을 찾을라치면 일단 가격 앞에서 주눅들게 마련이다. 몇 만원짜리 좌석도 있지만 수십만원 하는 게 다반사다. 좌석별로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보니 고민도 크지만 정작 선택을 위한 기초 정보는 너무 빈약하다는 불만도 나온다. 주어진 정보라고는 그저 R석은 비싸고 C석은 싸다는 것뿐이다. 공연단체나 공연장 자체의 수준이 높아진 것에 비례해 좌석 정보도 선진국처럼 관객 눈높이에 맞춰 구체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미지 확대
▲오사카 ‘더 심포니홀’의 홈페이지 좌석 정보. 왼쪽 귀퉁이의 LLF석을 클릭하면 그 자리에서 바라본 무대 모습(왼쪽)과 해당 좌석번호(원 안)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심포니홀 홈페이지
▲오사카 ‘더 심포니홀’의 홈페이지 좌석 정보. 왼쪽 귀퉁이의 LLF석을 클릭하면 그 자리에서 바라본 무대 모습(왼쪽)과 해당 좌석번호(원 안)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심포니홀 홈페이지
17일 공연계에 따르면 국내 클래식 공연장을 찾는 관객들의 가장 큰 불만은 비싼 돈을 들여 R석에서 들으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값싼 C석에서 보면 어떤 단점이 있는지 도통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예술의전당이나 세종문화회관도 예외는 아니다.

하지만 이웃 일본만 해도 얘기가 다르다. 좌석별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인터넷에서 해당 좌석을 클릭하면 그 자리에서 무대가 어떻게 보이는지 시야를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쿄 산토리홀과 NHK홀이 대표적이다. 시야 사진 외에도 음향 정보까지 제공한다. 산토리홀은 홈페이지를 통해 “홀의 옆부분을 삼각뿔로 만들고 천장의 내부를 완곡하게 해 미세하고 끊어질 듯한 피아니시모(매우 여리게라는 뜻) 선율까지 모든 좌석에 전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장 좋지 않은 좌석에서도) 여유롭고 풍부한 울림, 중후한 저음에 뒷받쳐진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며 “잔향시간(울린 소리가 멈추는 시간)은 만석일 경우 중음역에서 2.1초”라고 소개했다.

착석감에 대한 설명도 있다. “포도밭형 무대에 걸맞게 객석의자를 포도무늬 와인색으로 꾸몄고, 다리를 쭉 뻗을 수 있도록 공간의 여유를 뒀다.”고 설명한다.

지방 공연장들도 예외는 아니다. 아사히방송이 운영하는 오사카 ‘더 심포니홀’은 클릭 한 번이면 좌석에서 바라보는 무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무대에서 보는 객석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잔향 시간(만석 기준 2초) 정보도 빠뜨리지 않는다.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홀’도 “2020석의 대규모 공연장이지만 무대의 맨 앞부분에서 3층 맨 뒷자리까지 거리가 33.5m에 불과하다.”며 “연주자를 최대한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만석 기준 잔향시간은 2.1초”라고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였다.얼마 전 일본 공연을 가진 한 기획사 관계자는 “홍보 차원의 자랑이라고 여길 수도 있지만 관객 처지에서는 매우 유용한 정보”라며 “국내 공연장도 좌석별 상세 정보는 물론 착석감, 음향 특성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 풍토 변화 조성에 예술의전당과 세종문화회관이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5-1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