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남철수’ 美선원 “피난민들, 질서정연하게 승선, 거제서 배에 절하고 내려”

‘흥남철수’ 美선원 “피난민들, 질서정연하게 승선, 거제서 배에 절하고 내려”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7-06-13 11:39
업데이트 2017-06-13 1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맥아더 지시로 피난민 구조···화물 버리고 전투식량만 싣고 흥남으로 가”

한국전쟁 당시 미국 상선 메러디스 빅토리(Meredith Victory)호의 상급선원으로 ‘흥남철수 작전’을 도왔던 로버트 러니(90)는 12일(현지시간) “흥남철수작전은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의 지시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13일 보도했다. 러니는 이날 미국 뉴욕 주 브롱스빌에 있는 자택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1950년 12월 8일 ‘피난민을 구출하라’는 취지의 맥아더 총사령관 명령문이 내려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흥남철수’ 참여한 빅토리호 상급선원 러니
‘흥남철수’ 참여한 빅토리호 상급선원 러니 한국전쟁 당시 ‘흥남철수작전’에 참가해 1만4천여명의 피란민을 거제도로 철수시켰던 7천600t급 상선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상급선원 로버트 러니씨. 러니씨가 12일(현지시간) 자택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왼쪽은 월드피스자유연합 안재철 이사장. 2017.6.13
보도에 따르면 그는 “미군은 상선인 빅토리호에도 참여 여부를 타진했고, 당시 선장이었던 고(故) 레너드 라루는 ‘태울 수 있는 만큼 태우겠다’며 화물을 비운 채로 1000 명분의 C레이션(전투식량)만 싣고 함경도 흥남으로 향했다”고 회고했다. 이는 미군 역시 피난민 구조에 힘을 썼다는 의미다. 앞서 영화 ‘국제시장’ 등에서는 몇몇 한국인의 영웅적 노력이 부각된 반면 미군은 피난민 구조를 꺼리는 모습으로 묘사된 바 있다.

러니는 “피난민들이 빅토리호에 승선하는 16시간 동안, 불과 5000야드(약 4.5km) 앞까지 뒤쫓아온 중공군은 극한의 공포였다”면서 “북한이든 남한이든, 공산주의자든 반(反)공산주의자든, 살고자 하는 이들이었기에 구출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극한의 상황에서도 피난민들은 질서정연하게 승선했고, 거제항에 도착해서는 하나같이 선교를 향해 정중하게 한국식으로 절을 하고 내린 장면이 가장 기억이 남는다”면서 “흥남철수작전의 진정한 영웅은 한국인”이라고 말했다.

당시 빅토리호는 1950년 12월 22일 피난민 1만 4000여 명과 함께 흥남항을 출발해 12월 25일 거제도에 도착했다. ‘크리스마스의 기적’으로 불리는 이 항해는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해상구조로 기네스북에 올라있다.

러니는 “휴전협정이 체결되고 한반도를 둘러봤을 때는 굴뚝밖에 남은 게 없었는데 오늘날 위대한 발전을 이뤘다”면서 “생전에 남북통일을 꼭 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흥남철수 피난민 가정에서 태어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서는 “흥남철수작전이 없었다면 지금의 문 대통령도 없었을 것”이라며 “그런 만큼 역대 어떤 대통령보다도 한미동맹에 기여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흥남이 고향인 문 대통령의 부모는 1950년 12월 흥남철수 때 미군 함정에 몸을 싣고 남한에 정착했다.

이와 관련, 이달말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하는 문 대통령으로부터도 초청을 받고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