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채찍 대신 당근 바꿔 든 트럼프식 대중외교

취임 후 채찍 대신 당근 바꿔 든 트럼프식 대중외교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7-04-19 18:18
업데이트 2017-04-20 0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 북한문제에 협력 존중” 칭찬

‘무역전쟁 불사’ 협박서 태도변화
무력 투입 전 中움직임 관찰할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대북 역할을 강조하는 발언 수위를 낮추고 있어 배경이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한 태도가 대선 때와 달라졌다’는 지적에 “몹시 나쁜 상황이 닥치는 것을 막고자 노력하고 있는 사람(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상대로 강력한 무역 혹은 환율 조작 발표를 시작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미 재무부는 최근 발표한 환율 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북한 문제에 협력하는 와중에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해야 하느냐”며 “나는 중국을 대단히 존중하며 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북핵 사태에 대한 중국의 대응 태도가 달라졌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북한에) 대처하지 않고 있다”며 “누구도 중국이 이렇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걸 본 적이 없다”고 말해 중국의 최근 대응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중국은 우리를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시 주석은 도우려 하는데 어쩌면 도울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도우려 하는 것과 도울 수 없는 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라며 “(북핵 관련) 무슨 일이 벌어질지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선거운동 기간은 물론 지난 6~7일 미·중 정상회담 직전까지도 중국이 북한 문제를 돕지 않는다며 무역 불이익을 주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그러나 정상회담 이후 무역 혜택을 연계하며 중국에 유인책을 던졌다. 최근에는 중국이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호적인 반응을 내놓고 있다. 협박→회유→칭찬으로 분위기가 달라진 것이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적 옵션을 쓰기 전에 중국이 얼마나 움직일지 보려는 것”이라며 “중국을 압박할 수 있는 옵션은 무역뿐 아니라 ‘세컨더리 보이콧’ 등 여러 가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태도를 지켜본 뒤 북한 상황이 바뀌지 않으면 10월 환율 보고서 발표 시 환율조작국 지정을 검토하는 등 무역 제재에 나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인터뷰에서 “다음 정상회담에서 관세 불균형을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로 가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미국과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으며 미국은 중국과 한국, 일본과 한반도 비핵화라는 공통의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을 먼저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7-04-20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