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급주택 가격 1년새 20% 올라…상승률 세계 3위

서울, 고급주택 가격 1년새 20% 올라…상승률 세계 3위

입력 2017-09-03 11:12
업데이트 2017-09-03 1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1개 도시 평균(4.4%)의 4.5배…1분기 5위에서 두계단 상승

서울의 고급주택 가격이 최근 1년 동안 20% 올라 세계 주요 도시 중 상승률 3위를 기록했다.

3일 영국 부동산 정보 업체 나이트프랭크의 ‘프라임 글로벌 도시 지수’ 2분기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41개 도시를 대상으로 2016년 6월∼2017년 6월 고급주택의 가격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이 19.9%로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체 도시의 평균 상승률(4.4%)의 4.5배에 달하는 수치다.

지수는 각 도시의 부동산 시장에서 상위 5%에 들어가는 주택의 가격 움직임을 분석한 것이다.

1위 중국 광저우(35.6%), 2위 캐나다 토론토(20.7%)에 이어 서울이 3번째로 상승률이 높았고, 이어 4위 상하이(19.7%), 5위 베이징(15.0%)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특히 올해 1분기 조사에서 17.6%의 상승률(지난해 1분기 대비)로 5위를 차지한 데 이어 2분기에는 상승폭이 더 가팔라지며 순위가 두 계단 올랐다.

또 1분기 서울 전체의 주택 가격이 2.9% 올라 108위(지난해 1분기 대비)에 머문 점과 비교하면 최근 1년 사이에 고가 주택일수록 집값이 많이 오른 것으로 풀이됐다.

2분기 조사에서 41곳 중 고급주택 가격이 오르거나 유지된 도시는 28곳에 달했다.

이 중에서도 중화권 부유층의 부동산 열기는 여전히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위 안에 광저우, 상하이, 베이징이 3자리를 차지한 데 이어 홍콩도 12위(8.1%)에 올랐다.

‘톱 10’에는 6위 시드니(11.5%), 7위 마드리드(10.7%), 8위 베를린(9.7%), 9위 케이프타운(9.2%), 10위 멜버른(9.1%) 등이 들었다. 10위권에는 들지 못했지만 유럽의 파리(8.8%), 스톡홀름(6.9%), 더블린(3.8%)이 각각 11, 13, 14위에 올랐다.

미국 도시 중에는 15위 샌프란시스코(3.8%), 17위 로스앤젤레스(3.7%), 20위 마이애미(2.3%), 22위 뉴욕(1.5%) 등으로 나타났으나 모두 평균 상승률을 밑돌았다.

반면 고급주택 가격이 뚝 떨어진 도시로는 모스크바(-11.8%), 상트페테르부르크(-7.9%)가 각각 하위 1·2위를 기록해 러시아 부동산 시장의 냉기를 반영했다.

이밖에 도쿄(-2.8%), 취리히(-4.1%), 이스탄불(-4.8%)과 함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협상이 진행 중인 런던(-6.3%)에서도 고급주택의 인기가 시들해졌다.

특히 중국에서는 집값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당국의 부동산 규제 여파로 상승폭은 다소 둔화한 것으로 풀이됐다.

나이트프랭크 국제주거조사 부문장인 케이트 에버렛 앨런은 “베이징에서는 고급주택 가격이 1분기 22.9%의 상승률을 보였지만 2분기 15%로 내려가 둔화폭이 가장 컸다”면서 “중국 부동산 열기는 전 세계 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지만 최근 나온 부동산 냉각 조치에 따라 앞으로 중국의 영향력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