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60여개 은행, 25년 전 北에 떼인 20억달러 회수 추진

유럽 60여개 은행, 25년 전 北에 떼인 20억달러 회수 추진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6-28 23:16
업데이트 2017-06-29 02: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내 北 동결 자산 몰수 계획

유럽 은행들이 25년 전 북한의 채무 20억 달러(약 2조 2880억원)를 미국 내 북한 동결 자산으로 집행하려 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지난 16일 ‘ANZ 그린드레이즈’ 은행과 ‘ANZ 상업’ 은행 등 60여개 유럽 은행이 북한 ‘조선무역은행’을 상대로 1992년 프랑스 파리에서 받은 ‘국제상공회의소’(ICC) 중재 결론을 미국 현지에서 집행하겠다는 신청서를 미 연방 애리조나 지방법원에 제출했다. ICC는 당시 16억 1513만 스위스 프랑과 9억 2948만 독일 마르크의 배상 판결을 내렸다.

또 이 은행들은 당시 판결에서 법률 비용으로 부과된 10만 영국 파운드와 중재위원회 관련 비용의 일부인 8만 4760달러를 변제받기 위해 미국이 동결했거나 앞으로 동결할 북한의 자산을 저당잡겠다고 밝혔다. 영국과 스위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은행과 금융기관은 1977년 북한 조선무역은행에 빌려준 돈이 상환되지 않자 미국이 가입한 국제협약에 따라 1992년 판결문을 1995년 미 연방 워싱턴 지방법원에 등록해 미국내 집행 승인권환을 확보했다. RFA는 복수의 유엔 소식통의 말을 인용, 지난 16일 뉴욕 JFK공항에서 발생한 외교행낭 사태의 주인공인 리흥식 북한 외무성 인권대사와 리동일 국제기구 국장 일행이 미 당국 몰래 애리조나를 다녀왔으며 그것이 유럽 은행의 북한 배상 청구와 관련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2014년 한국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한 전 북한 노동당 고위 관리였던 리정호씨는 미국의 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최근까지 싱가포르 회사들을 거쳐 러시아로부터 매년 20만~30만t의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과거 39호실에서 이뤄졌던 불법 경제활동은 대부분 다른 부서로 이관됐다”면서 “대북 제재를 39호실 사업과 인사들에게 집중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29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