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35A 스텔스기보다 비싼 군 대형 수송헬기 생산 승인

美, F-35A 스텔스기보다 비싼 군 대형 수송헬기 생산 승인

입력 2017-04-05 10:52
업데이트 2017-04-05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병대용 CH-53K 생산 승인, 대당 1천495억 원 웃돌아 논란

대당 가격이 F-35A 스텔스 전투기보다 비싼 1천500억 원가량 돼 거센 논란을 일으킨 미군의 대형 수송헬기가 생산단계에 들어가게 됐다.

미 해군연구소(USNI) 뉴스는 패트릭 에번스 국방부 대변인을 인용, 국방부가 4일(현지시간) 해병대용 CH-53K ‘킹 스텔리언’(King Stallion) 헬기의 생산과 배치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해병대가 1981년부터 운영해온 대형 수송헬기 CH-53E ‘슈퍼 스텔리언’(Super Stallion)교체 기종으로 200대를 도입하기로 한 CH-53K의 대당 도입 가격은 9천500만 달러(1천70억 원).

제작사인 시콜스키/록히드마틴이 내놓은 이 가격은 어디까지나 기본가격일 뿐 연구개발비,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한 실제 가격은 1억3천300만 달러(1천495억 원) 수준이다.

이에 따라 CH-53K는 9천300만 달러(1천40억 원) 수준으로 같은 제작사(록히드마틴)의 미 공군용 F-35A 스텔스 전투기보다 4천만 달러(450억 원)가량 비싼 셈이다.

그러나 수직이착륙 기능을 가진 해병대용 F-35B와 항공모함을 발진기지로 하는 해군용 F-35C 기종보다도 비싸다는 게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뤄온 하원 군사위원회 소속 니키 송거스 의원 등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송거스 의원은 대당 가격이 8천900만 달러(1천억 원)로 미군 헬기 가운데 최고가인 MV-22 오스프리 수직이착륙기와 비교해도 CH-53K의 가격이 터무니없이 비싸다고 주장했다.

열띤 논란에도 해병대 측은 존 데이비스 해병대 부사령관(항공전 담당) 명의의 성명을 통해 국방부의 결정을 환영했다. 이 헬기사업단장인 헨리 반덴보트 대령도 해군연맹 연례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CH-53K가 적재 능력, 안전성, 운영성 등에서 성능이 크게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반덴보트는 “특히 양력을 발생시키는 주날개(main rotor) 기어 박스 수리주기가 CH-53E는 2천 시간이지만, CH-53K는 2천400시간이라면서, 이에 따라 나머지 보조날개까지 계산하면 CH-53K 대당 연간 470만 달러(52억8천만 원)가량을 절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성능 측면에서 CH-53K는 기존 헬기보다 뛰어나다. 군사 전문가들은 2015년 첫 비행시험을 한 후 개발 마무리 단계인 CH-53K가 강력한 GE38-1B 터보샤프트 엔진 3기를 장착, 최대 1만3천140마력의 출력을 낼 수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이어 동체 내부에 13ㆍ6t을, 외부에 로프를 매달고 수송(슬링) 시에는 14ㆍ5t을 각각 실어나를 수 있어 화물 수송량이 CH-53E보다 3배나 많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고 시속 315㎞, 항속거리 4천852㎞인 CH-53K는 중기관총 2문도 장착해 만만찮은 화력을 갖췄다. 미 해병대는 내년에 시제기를 들여와 일련의 시험비행을 거쳐 이듬해부터 2019년부터 본격적인 배치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제작사 관계자는 현재 생산체계로는 연간 24대의 CH-53K를 생산할 수 있지만, 양산체계가 완비되는 오는 2020년부터는 생산량이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