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쿠바, ‘무기수리↔식량’ 물물거래 가능성

북한·쿠바, ‘무기수리↔식량’ 물물거래 가능성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14: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IPRI 전문가 그리피스 “북한 돈 없어 쩔쩔매는 모습 드러내”

북한 선박이 쿠바에서 미사일 부품을 싣고 가다 파나마 당국에 적발되면서 북한이 무기수리와 식량 교환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물물 거래’를 찾아낸 것이라는 등의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불법 거래 전문가인 휴 그리피스는 17일(현지시간) AF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무기를 수리해주고 그 보상으로 기본적인 식량을 받는 물물교환 형태의 거래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리피스는 미사일 부품으로 추정되는 물품들이 화물함에 숨겨져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당시 정교한 미사일 장치들은 설탕에 가려진 채로 컨테이너 속에 들어 있던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그는 “북한은 이름 있는 선박회사의 컨테이너에 무기를 숨겨 이송하는 데 능하다”며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불투명한 국가고, 물물 거래는 아무런 금융 기록을 남기지 않아 정확한 거래 규모를 안다는 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리피스는 이 같은 형태의 거래를 막으려면 “유엔 국가들 사이에 정보공유와 협력을 강화하고, 이들 국가에 더욱 많은 정보를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거래를 보면 그들이 돈이 없어서 얼마나 쩔쩔매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우리에게는 우스워 보이는 거래도 그들에게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비영리 감시단체인 ‘핵무기 통제에 관한 위스콘신 프로젝트(WPNAC)’의 메슈 갓세이는 “(이번에 적발된) 청천강호가 이전에도 인공위성 응답기를 꺼놓는 등 감시를 피해 항해를 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가 최근 조성된 미국과 쿠바 간 ‘해빙 무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미국과 쿠바는 50년 이상 중단된 양국의 우편서비스 정상화 회담을 지난 6월 가진 데 이어 쿠바인에 대한 미국의 비자 발급 문제를 논의하는 이민협상도 재개했다.

전문가들은 “쿠바가 은밀한 무기거래에 동참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과 쿠바의 ‘데탕트’(detante·긴장완화) 움직임이 위험에 빠질 수 있다”고 밝혔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위원장인 실비 루카스 룩셈부르크 대사는 “쿠바가 북한에 무기를 보내고 나서 돌려받고자 했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관련서류를 받아야 했다”며 “유엔은 쿠바로부터 그 같은 요구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번에 적발된 무기들이 미국을 위협하는 수준도 아니고, 양국의 긴장 관계 역시 그리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쿠바의 무기들은 낡아 계속 수리해야 하고, 일부 부품은 구하기도 어려운 수준이라는 것이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마이크 엘먼 수석 연구원은 “러시아 등이 미국의 눈치를 본 나머지 쿠바에 최신식 무기를 판매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며 “쿠바가 할 수 있는 건 구형 무기를 수리하는 방법뿐”이라고 말했다고 CNN은 전했다.

엘먼은 이어 “북한에 대한 제재는 이미 최고 수준에 올라 있고, 미국과 쿠바와의 관계는 해빙 무드에 접어들었다”며 이번 사태로 인한 여파가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