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면 벗은 아베… 비겁한 철학 안에 인간성은 없다”

“가면 벗은 아베… 비겁한 철학 안에 인간성은 없다”

입력 2013-04-29 00:00
업데이트 2013-04-29 1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화통신·파이낸셜타임스 잇따라 기사·사설로 비판

”아베 총리의 비겁한 철학 안에 인간성은 존재하지 않는다.”(신화통신)

”아베 총리가 가면을 벗는 것은 사실 시간문제였다. 그는 지금껏 속에 감쳐온 극단적 국수주의를 드러내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썼을 뿐이다.”(파이낸셜타임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잇단 극우 망발에 일본 안팎의 비난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도 사설과 기사로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논조는 선명했고, 톤은 매우 강했다.

신화통신은 28일자 사설과 29일자 기사에서 아베의 잇단 망언과 도발적 언행이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으며 그의 비겁(비열)한 철학(cowardly philosophy) 안에 인간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힐난했다.

통신은 정치인이 역사의 영역에 끼어들어서는 안 된다고 한 아베의 말을 언급하면서 “그러나 정치인에게는 인본주의적이고 도덕적으로 건전한 철학을 바탕으로 역사를 인식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아베 총리가 ‘침략(aggression)’의 정의에 관한 국제적 기준이 없다고 한 궤변에 대해서는 “적어도 학문적으로는 침략에 관한 명확한 정의가 있다”며 미국 사전 출판사인 메리엄웹스터(Merriam-Webster)에 따르면 ‘침략’이란 다른 나라의 영토를 공격하거나 침해하는 것이며, 특히 정당성 없는 침해를 뜻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간성을 파괴하는 행동에 대한 개인이나 국가의 태도는 그 개인이나 국가가 선과 악 어느 쪽에 서 있느냐에 따라 좌우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2차 세계대전 당시 ‘대동아 공영권’이라는 핑계로 중국을 비롯한 이웃 국가들을 침략했지만, 중국과 한반도 국민의 눈에 ‘대동아 공영권’의 결과는 수많은 사망자와 비극, 참사였을 뿐이라고 일갈했다.

통신은 일본의 과거 침략 행위에 대한 국제사회의 일치된 의견을 아베와 일본 정치인들이 부인하고, 역사를 직시하지 못한다면 일본은 정치적으로 비열한 인상을 국제사회에 심어줄 것이며 과거의 파시즘에서 영원히 헤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아베 총리는 법관도, 역사학자도 아니다. 하지만 세계 경제대국의 지도자로서 그는 인간이라면 갖고 있는 옳고 그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따를 의무가 있다”고 꼬집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29일자 사설에서 아베 총리가 국수주의적 충동에 자신을 내맡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는 한 번도 국수주의적 성향을 숨긴 적이 없다. 그가 가면을 벗고 실체를 드러내는 것은 시간문제였을 뿐”이라며 아베 총리의 극우적 세계관이 최근 다시 요주의 대상이 됐다고 진단했다.

또 “아베 총리가 전사자들을 추모하고자 하는 게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야스쿠니신사”라며 1급전범들이 합사돼 있어 일본 국수주의자들의 성지로 인식되고 있는 야스쿠니신사를 통해 전사자를 추모하려는 것은 잘못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의 이러한 행동이 그가 추진하는 경제성장 정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베 총리가 한동안 경제 성장에 집중해왔고 소기의 성과를 달성했지만, 이는 엔화 약세에 따른 피해를 주변국들이 고스란히 감내하는 희생이 담보된 것이라 대단히 위험하다고도 했다. 나아가 국제사회의 동조가 사라지면 그의 경제 성장 정책 역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의 수정주의(revisionism)는 잘해도 경제 성장에 방해가 될 것이고 최악에는 위험요소로 작용할 것”이라며 “그는 지금 경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