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들어 대한민국 사회의 문제로 심심치 않게 거론되던 것이 바로 매뉴얼의 부재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매뉴얼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작업 공정이나 행정 또는 여러 종류의 일의 순서나 절차에서 우리 사회가 여전히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했음을 의미했다. 아는 사람들끼리 알음알음으로 주먹구구 일을 배우고 진행해 나가는 현실에 대한 ‘합리적인’ 비판이었다.
이러한 비판이 큰 공감을 얻기 시작한 것은 바로 2014년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이었다. 선박 운항과 관련한 다양한 부문에서 어떠한 매뉴얼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렇기에 이 사건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오던 매뉴얼 부재라는 심각한 문제를 우리 사회에 비극적으로 제기했다. 이후로 사회 전반에 걸쳐 매뉴얼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됐다.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과연 담당자는 매뉴얼에 따라서 이를 처리했는가가 가장 우선적인 검토 사안이 됐다.
매뉴얼은 라틴어로 ‘손’을 뜻하는 ‘마누스’(manus)에서 기원한다. 중세와 근대를 거치면서 손으로 하는 작업 방식 또는 일의 순서, 절차를 규정하는 안내서 등을 의미하게 됐다. 유럽 역사에서 이런 종류의 대표적인 문헌으로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하나는 14세기 초 프랑스 도미니코회 수사인 베르나르 기가 집필한 이단심문 매뉴얼이고 다른 하나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군사혁명을 이끈 오라녀 공 마우리츠의 군사훈련 매뉴얼이다.
이런 매뉴얼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가장 중요한 점은 모두 문자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인류학자 잭 구디의 통찰에 기대어 본다면 매뉴얼은 이를 읽는 누구나가 보편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의무를 부과한다. 즉 매뉴얼은 독자의 획일성, 내용의 보편성, 효과의 강제성을 전제한다. 그것은 누구에게나 제일 효과적인 방법을 가장 보편적으로 따르도록 한다. 그 결과 종종 나타나는 문제가 매뉴얼의 경전화 현상이다.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재구성될 방법임에도 불변의 목적으로 전도된다. 또는 경직성으로 비판받는 일본 사회의 사례처럼, 매뉴얼 없이는 아무것도 못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청년들을 MZ세대라 칭하곤 한다. 하지만 필자는 그보다 ‘매뉴얼 세대’라고 부르고 싶다. 이들 또한 어렸을 때부터 매뉴얼을 준수해야 한다는 삶의 태도를 그 어느 세대보다 뿌리 깊이 배워 왔다. 매뉴얼에 철저하기에 그에 따르지 않는 자에 대한 처벌이나 불이익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렇기에 대한민국 정치의 매뉴얼을 지키지 않는 자에 대한 분노와 저항은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하지만 역으로 매뉴얼을 준수한 자가 불이익을 받는 것도 결연히 거부한다.
당연히 사회는 매뉴얼대로만 흘러가지 않는다. 또한 매뉴얼에 대한 정확한 통찰은 매뉴얼 바깥을 성찰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우리 사회 청년들이 매뉴얼의 장벽을 넘어서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사회에 대해 고민하고 개척할 수 있기를 고대해 본다.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이러한 비판이 큰 공감을 얻기 시작한 것은 바로 2014년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건이었다. 선박 운항과 관련한 다양한 부문에서 어떠한 매뉴얼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렇기에 이 사건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오던 매뉴얼 부재라는 심각한 문제를 우리 사회에 비극적으로 제기했다. 이후로 사회 전반에 걸쳐 매뉴얼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됐다.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과연 담당자는 매뉴얼에 따라서 이를 처리했는가가 가장 우선적인 검토 사안이 됐다.
매뉴얼은 라틴어로 ‘손’을 뜻하는 ‘마누스’(manus)에서 기원한다. 중세와 근대를 거치면서 손으로 하는 작업 방식 또는 일의 순서, 절차를 규정하는 안내서 등을 의미하게 됐다. 유럽 역사에서 이런 종류의 대표적인 문헌으로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하나는 14세기 초 프랑스 도미니코회 수사인 베르나르 기가 집필한 이단심문 매뉴얼이고 다른 하나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군사혁명을 이끈 오라녀 공 마우리츠의 군사훈련 매뉴얼이다.
이런 매뉴얼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닌다. 가장 중요한 점은 모두 문자문화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인류학자 잭 구디의 통찰에 기대어 본다면 매뉴얼은 이를 읽는 누구나가 보편적으로 따라야 한다는 의무를 부과한다. 즉 매뉴얼은 독자의 획일성, 내용의 보편성, 효과의 강제성을 전제한다. 그것은 누구에게나 제일 효과적인 방법을 가장 보편적으로 따르도록 한다. 그 결과 종종 나타나는 문제가 매뉴얼의 경전화 현상이다.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재구성될 방법임에도 불변의 목적으로 전도된다. 또는 경직성으로 비판받는 일본 사회의 사례처럼, 매뉴얼 없이는 아무것도 못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청년들을 MZ세대라 칭하곤 한다. 하지만 필자는 그보다 ‘매뉴얼 세대’라고 부르고 싶다. 이들 또한 어렸을 때부터 매뉴얼을 준수해야 한다는 삶의 태도를 그 어느 세대보다 뿌리 깊이 배워 왔다. 매뉴얼에 철저하기에 그에 따르지 않는 자에 대한 처벌이나 불이익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렇기에 대한민국 정치의 매뉴얼을 지키지 않는 자에 대한 분노와 저항은 정치적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하지만 역으로 매뉴얼을 준수한 자가 불이익을 받는 것도 결연히 거부한다.
당연히 사회는 매뉴얼대로만 흘러가지 않는다. 또한 매뉴얼에 대한 정확한 통찰은 매뉴얼 바깥을 성찰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우리 사회 청년들이 매뉴얼의 장벽을 넘어서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사회에 대해 고민하고 개척할 수 있기를 고대해 본다.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2025-01-2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