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봉급과 물가

[그때의 사회면] 봉급과 물가

손성진 기자
입력 2017-02-12 23:08
업데이트 2017-02-13 1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0전 지폐
10전 지폐
1968년 11월 말 운행이 중단된 서울의 전차 요금이 2원 50전이었다. 1원이 요즘의 100원 가치는 족히 됐으니 전 단위의 가격이 매겨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1원의 10분의1에 해당하는 10전짜리와 그 다섯 배 가치인 50전짜리 지폐는 1962년 12월 1일 처음 발행돼 1980년 12월 1일까지 찍었다고 한다. 화폐 수집용 10전짜리 지폐의 인터넷 가격이 1640원이다. 생각보다 저렴하다고 할지 모르지만 따지고 보면 액면가의 1만 6400배나 된다.

1972년 3월 21일자에 공무원 봉급표가 실렸다. 지금의 9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5급을 1호봉의 봉급이 본봉 4180원과 직책수당 1만 3120원을 더해 1만 7300원이었다. 현재의 5급인 3급을 1호봉의 봉급은 2만 8000원이었다. 올해 9급 공무원 1호봉의 수당을 포함한 실수령액은 180만원가량, 5급 1호봉은 295만원가량 되니 대략 100배 이상 오른 셈이다. 당시 최고 인기 직업이던 은행원의 첫 월급이 3만~4만원(고졸)이었다. 번듯한 직업의 월급이 이 정도이고 일반 공장 근로자의 월급은 몇천원에 불과했다.

월급이 몇백 배 오른들 뭐하랴. 물가는 그보다 더 뛰었으니 말이다. 1972년과 2016년을 비교한 통계청 물가지수 통계를 보면 소비자물가는 16배 오른 것으로 돼 있다. 그러나 통계는 통계일 뿐 실생활 물가의 상승폭은 훨씬 크다. 1971년 준공된 서울 여의도 시범아파트의 분양가는 평균 450만원이었다. 지금은 200배 이상 비쌀 것이다. 1974년 분양된 서울 잠실 시영아파트의 분양가는 230만~250만원 선이었다.

목욕료, 짜장면값, 설렁탕값, 연탄값, 이발료, 커피값 등은 이른바 협정요금으로 묶여 있었다. 만약 이를 어기면 위생검사,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받았다. 1971년 6월 물가를 보면 짜장면과 우동 60원, 라면 20원, 커피 50원, 설렁탕 100원, 연탄 20원, 이발료 180원, 신문구독료 350원, 시내버스 요금 10원이었다.

그러나 이후 1차 석유파동을 거치면서 물가는 급등해 짜장면은 1976년에는 200원으로 5년 만에 3배 이상 뛰었다. 1973년 영화 개봉관 입장료는 300~670원이었다. 또 같은 해 택시 기본요금과 주택복권 한 장값은 100원, 1974년 서울 지하철 개통 당시 기본요금은 30원이었다.

쌀값은 1972년 80㎏ 한 가마니에 1만 200원선이었다. 10년 후인 1982년에는 5만 6000원(정부미 기준)으로 올랐다. 지난해 말 산지 기준 쌀 한 가마니값은 12만 9000원이다. 쌀값은 2000년대 초반 21만원대까지 꾸준히 오르다 이후 풍작과 소비 감소로 1995년 수준으로 도리어 뒷걸음질쳤다. 정부가 서민을 위해 억제하고 있는 연탄값(한 장 600원)과 더불어 가장 적게 오른 게 쌀값인 셈이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7-02-13 3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