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요일 4시 퇴근’ 민간기업엔 그림의 떡인가

[사설] ‘금요일 4시 퇴근’ 민간기업엔 그림의 떡인가

입력 2017-04-03 22:16
업데이트 2017-04-03 2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요일 오후 4시에 퇴근하는 한국판 ‘프리미엄 프라이데이’가 이달부터 공직사회에서 먼저 시행된다. 기획재정부와 기상청은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인사혁신처 직원들도 3~4개 그룹으로 나눠 매주 금요일 오후 4시에 교대로 퇴근한다. 수요일을 조기 퇴근일로 잡은 부처도 있다. 소비를 유도하고 내수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런 방안은 지난 2월 내수 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처음 제시됐다.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마다 오후 3시 퇴근이 권장되는 일본의 제도를 벤치마킹했다. 일찍 퇴근하는 시간만큼은 평소 업무 시간을 더 늘린다는 개념이다.

심각한 내수 부진에 더는 손 놓고만 있을 수 없는 상황이다. 소비심리를 회복시킬 수만 있다면 지푸라기라도 잡아야 할 현실인 것이다. 최근 소비자심리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경기 회복에 백약이 무효하다는 한숨이 터진다.

공직사회가 금요일 조기 퇴근 제도를 도입한 것은 그런 위기의식에서다. 경제 여건이 그만큼 엄중하니 공무원들이라도 먼저 유연근무제를 활용해 묘책을 찾아보자는 궁여지책이다. 그런 딱한 사정을 넘겨짚으면서도 공직자들의 조기 퇴근 움직임은 썩 곱게만 보이지는 않는 게 사실이다. 정부가 이 방안을 처음 내놨을 때 “여유 시간이 많아진들 쓰고 싶어도 쓸 돈이 없는 게 문제”라는 냉소적인 여론이 높았다. 그런 사정이니 자칫 공직자들의 조기퇴근제는 보통의 직장인들에게는 괴리감만 키우는 딴 세상 이야기일 수 있다. 벌써 일각에서는 “이래저래 또 공무원들만 좋아진다”는 쓴소리가 나온다.

공직사회가 앞장선다 하더라도 실제로 민간기업의 조기 퇴근 문화가 덩달아 활성화될지는 미지수다. 지난 2월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 지금까지 금요일 조기 퇴근을 도입하겠다는 민간기업은 단 한 곳도 없다. 평일 제시간 퇴근조차 힘든 것이 대부분 직장인의 현실이다. 유연근무제는 여전히 그림의 떡일 뿐이다.

공직사회만 일과 휴식이 균형 잡힌 일터가 된다면 시민들의 소외감은 더 커질 수 있다. 양질의 휴식이 노동의 질을 보장한다는 기업의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하지만 당장은 정부의 노력이 앞서야 한다. 금요일 조기 퇴근을 일·가정 양립 우수 기업의 평가요소로 삼는 등 강력한 인센티브로 꾸준히 민간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2017-04-0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