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봄/유희경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봄/유희경

입력 2018-04-27 18:14
업데이트 2018-04-27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메모리/김대섭(80×65㎝, 캔버스에 오일)
메모리/김대섭(80×65㎝, 캔버스에 오일) 2008년 계명대 대학원 미술학과 석사. 2014년 쾰른 아트페어 전시 등
봄/유희경

겨울이었다 언 것들 흰 제 몸 그만두지 못해 보채듯 뒤척이던 바다 앞이었다 의자를 놓고 앉아 얼어가는 손가락으로 수를 세었다 하나 둘 셋, 그리 熱을 세니 봄이었다 메말랐던 자리마다 소식들 닿아, 푸릇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그제야 당신에게서 꽃이 온다는 것을 알았다 오는 것만은 아니고, 오다 오다가 주춤대기도 하는 것이어서 나는 그것이 이상토록 좋았다 가만할 수 없이 좋아서 의자가 삐걱대었다 하나 둘 셋, 하고 다시 열을 세면 꽃 지고 더운 바람이 불 것 같아, 수를 세는 것도 잠시 잊고 나는 그저 좋았다

겨울을 견디며 서 있는 나무들의 인내는 심오하고 철학적이었다. 어느 날 그 나무들이 가지마다 꽃을 토해 냈다. 만개한 벚꽃이 비바람에 다 지고, 메말랐던 가지엔 신록이 짙어 간다. 느티나무와 은행나무에도 막 돋아난 연초록 잎은 꽃보다 더 눈부시고 어여쁘다. 나무들은 대지가 기르는 신생의 아기들이다. 아기들이 까르륵거리는 세상이 곧 천국이다. 우리는 이 천국에서 씨 뿌리고, 거두고, 뛰고, 걸으며, 사랑하고, 속을 끓이고, 아이를 키운다. 밀턴은 ‘실낙원’에서 “어느 쪽으로 달아나도 지옥, 내 자신이 지옥이니”라고 했다. 그 지옥을 버텨 내는 일이 진절머리 나고, 또한 세상의 악과 멍청함, 가난이 완고해도 나무의 신록이 짙어지는 걸 바라보는 일은 그 무엇과 바꾸고 싶지 않은 기쁨과 위안이다.

장석주 시인
2018-04-28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