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젊은 독자 시선 끄는 신문으로/박동숙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 교수

[옴부즈맨 칼럼] 젊은 독자 시선 끄는 신문으로/박동숙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 교수

입력 2010-05-04 00:00
업데이트 2010-05-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나는 신문 산업 위기 극복 방안 중 하나로, 사라져 가는 신문 독자들을 부활시킬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론 작업에 참여했다. 논의를 진행하는 가운데서도 우리는 젊은 세대의 신문 이탈 가속화 현상에 대한 대안 마련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우리 신문들이 젊은 층에서 새로운 독자 군을 개발해 내는 일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 보인다. 그 탓일 테지만 지난 한 주간은 특히나 서울신문 지면에 과연 얼마나 청소년 또는 젊은 독자층을 고려한 기사가 담겨 있는지를 유심히 관찰하며 신문을 읽게 되었다.

이미지 확대
박동숙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 교수
박동숙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 교수
그런데 그 어느 날 지면에서도 젊은 독자들을 배려한 기사는 보이지 않았다. 문화기사가 비교적 연극, 영화, 음악 등의 공연 소식 등을 담고 있었지만 기사의 내용, 글쓰기 방식, 그래픽, 레이아웃 등 그 어느 것을 봐도 젊은 독자층을 따로 염두에 두고 작성된 기사로는 보이지 않았다. 그래도 반가웠던 기사를 꼽자면 수유+너머와 공동으로 기획한 “고전 ‘톡톡’ 다시 읽기”가 그것이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인 비평 시각과는 다른 대안적 ‘노인과 바다’ 읽기는 신선한 느낌을 주었다. 그러나 이 기사 또한 젊은 독자층만을 위해 기획된 기사라고 보기는 어려웠다. 굳이 들자면 토요일 ‘라이프’면에 원더걸스 선예의 사진과 함께 패션 블로그를 소개한 기사는 기사 소재와 지면 디자인 등에 있어 일주일 기사 중 가장 ‘젊은’ 냄새가 풍기는 기사였다.

외국 여러 나라들은 젊은 독자를 개발하기 위한 매우 적극적인 실험들을 하고 있다. 젊은 독자를 위한 별도의 섹션이나 별지를 만든 후 독자가 증가한 어느 일간지의 성공사례도 있다. 또 다른 나라에서는 이러한 젊은 독자를 게토(ghetto)화시키는 방안의 실패를 겪은 후 ‘분리 정책’을 버리고 기존의 지면에 젊은 층의 요구와 관심사를 반영하는 방법으로 젊은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방안을 고안해 내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취업난과 관련한 기사를 싣더라도 일반 기성세대가 바라보는 제3자의 시선에서 취업난을 다루지 않았다. 대신 취업난을 몸소 겪고 있는 젊은이들의 시각과 입장에서 기사를 다루며, 당사자들이 직접 기사를 쓰는 등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젊은 독자들이 신문에서 자신의 삶과의 관련성을 보고 느낄 수 있게 하는 전략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물론 성공적이었다.

그런데 우리는 즉각적 효과를 보이지 않는 장기적 프로젝트에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매체 환경에서 어떻게 젊은 세대가 여전히 언론의 중요성, 저널리즘의 가치 등을 인정하며 신문 독자로서 남아 있게 할 것인가는 그 누구보다도 당사자인 언론이 책임을 지고 위기 위식을 느끼며 감당해 나아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그래서 나는 서울신문에 엉뚱한 제안을 해 본다. 현재 우리나라의 언론은 그리 다양하지 못하다. 전국지를 표방하는 중앙일간지와 수적으로는 엄청난 팽창을 보인 지방 일간지로 이분화돼 있는 가운데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 일간지들은 큰 차별성 없이 서로가 닮은 채로 공생하고 있다. 굳이 고유의 ‘색깔’을 들자면 이념의 스펙트럼에서 보수와 진보 정도로 나뉘어져 있을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신문이 아주 획기적으로 젊은이들을 위한 신문으로 변신을 하면 어떨까 하고 잠시 상상을 해 본다. 젊은 감각에 맞는 디자인, 과감하고 대범한 레이아웃, 젊고 도발적인 컬러의 사용, 젊은 독자를 위한 기사, 젊은 세대의 시각에서 다루는 기사, 젊은 시각을 가진 기자들의 대거 등용 등 파격적인 전략을 통해 변신을 해 보자. 다른 신문에서는 전혀 다가갈 엄두도 내지 못하는 대학생 집단과 이제 막 사회로 진입하며 구매력을 갖기 시작하는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의 새로운 독자군을 타깃으로 하는 서울신문만의 독창적인 지면이 구성되지 않을까?

대한민국의 20대와 30대가 너도 나도 앞다투어 서울신문의 독자가 되는 그날을 위하여!
2010-05-04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