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대입수험생에게 드리는 편지/김준성 직업평론가·연세대 생활관 차장

[시론]대입수험생에게 드리는 편지/김준성 직업평론가·연세대 생활관 차장

입력 2010-11-12 00:00
업데이트 2010-11-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는 18일 수능시험을 시작으로 이제 본격적인 대입의 계절이 온 것 같습니다. 마무리 공부에 여념이 없을 요즈음 아무리 바빠도 여러분의 인생을 위해 미리 알아둬야 할 직업 진로 트렌드를 말하려고 합니다. 이 다섯 가지를 기초로 대학을 지원할 때, 전공을 먼저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생각을 말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확대
김준성 직업평론가·연세대 생활관 차장
김준성 직업평론가·연세대 생활관 차장
첫째, 창조력 중시 트렌드입니다. 창조력을 가진 인재가 경쟁력을 갖는 트렌드가 두드러지게 될 것입니다. 누가 무슨 말을 해도 여러분의 시대는 창의력의 시대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력을 함양하는 대학의 인생기를 설계해서 직업 시장을 바라보고 대학으로 항해를 하기 바랍니다. 창의력을 키우는 데 유리한 그런 학문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문예창작과, 국어국문과, 광고홍보학과 등을 선택하는 것은 이런 트렌드를 보고 선택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둘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신시장이 열리는 트렌드입니다. 남미, 유럽, 아프리카와 중앙 아시아입니다. 이들 시장은 한국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런 시장의 소비자들이 한국의 재화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망이 강해지는 중이랍니다. FTA 등의 타결로 남미 시장이 한국의 직업 시장에 다가오는 소리가 들립니다. 이제 칠레,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같은 자원 부국과 친해지는 트렌드랍니다. 여러분이 대학을 졸업하는 시기는 이들 신대륙과 교역이 상당부분 긴밀해진 이후라는 점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하든 스페인어 등 제2외국어를 많이 선택하는 사람들은 이런 트렌드에 잘 적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남미학, 아프리카지역학도 활용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셋째, 융합(融合) 트렌드입니다. 지난 과학과 새로운 과학이 결합하기도 하고, 더러는 인문학과 과학이 결합하는 그런 융합 트렌드 말입니다. 하여 이제는 하나의 과학만 공부해서는 진보를 만들어 가기 힘들 것입니다. 과학 융합의 시대가 가까이 오는 트렌드가 깊어질 것입니다. 로봇이 연기를 하는 로봇 드라마가 일상화되는 그런 세상이 여러분 앞에 전개될 것입니다. 이것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여러분이 졸업할 무렵의 흐름입니다.

넷째, 변종 글로벌시대 트렌드입니다. 그 내용인 바, 각국은 서로 국경선이 사라지면서도 다시 새로운 민족주의 경향이 심화되어 나타나는 이중구조의 모습으로, 지구촌이 일시적으로 혼돈의 과정을 거치게 될 것입니다. 이런 변종 글로벌 시대 트렌드는 지구촌을 무한 직업 경쟁의 시대로 만들어 가게 할 것 입니다. 이런 트렌드에서 여러분은 멀고 깊은 강물을 발견해야 한답니다. 국제NGO학과, 국제노무학과, 세계시민학과에 진학해서 이런 트렌드를 알고 국제 구호조직, 유엔, 유엔 산하기구, 국제 비정부조직의 직원으로 미래를 만들어 갈 개연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다섯째, 전문직 틈새시장 트렌드입니다. 국제 노동 시장에서 전문직의 기회가 확대될 것입니다. 이제 치의예과에 진학한 뒤 치과의사가 되어 국내에서만 일하는 데는 한계가 분명해 보입니다. 예를 들어 치의예과에 진학해도 인구가 늘어날 인도에서 치과전문의를 할 것을 예상하면서 인도를 학습하는 기회를 갖기를 구상하며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도어를 학습하고, 치과의사 자격증 패스를 통해서 취득하는 노력을 병행하지 않으면 아무리 치의예과에 합격, 국가 고시에 패스해도 일하기가 쉽지 않은 그런 시대가 오는 중이랍니다.

바야흐로 경쟁은 치열하고, 바람은 심하게 부는 글로벌 직업 환경의 다섯 가지 트렌드가 전개될 것입니다. 이런 시대에서는 직업 트렌드를 전망하고 다가오는 자기 직업 영역에 도전해서 경쟁과 역경을 극복할 능력을 기르는 작업을 생각하면서 대입과정에서 학과와 전공을 정하는 수험생이 슬기로운 존재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건승을 기대합니다.
2010-11-1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