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건강·환경 지키는 포도주문화 정착을/권오상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제어연구과장

[발언대] 건강·환경 지키는 포도주문화 정착을/권오상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제어연구과장

입력 2010-08-16 00:00
업데이트 2010-08-16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의 물방울’로 칭송받는 포도주는 맛과 향, 그리고 색깔도 다양해 전 세계 사람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포도주는 마늘·브로콜리 등과 함께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건강식품으로 꼽혔다. 항암작용과 콜레스테롤을 활성화시켜 동맥경화도 예방한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권오상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제어연구과장
권오상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제어연구과장
국내에서 포도주에 대한 역사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문헌에는 1285년 고려 충렬왕이 원나라 왕이 보내온 포도주를 처음 마셨다고 기록돼 있다.

통계자료(2008년 기준)에 따르면 국내 포도주 소비량은 약 3만 3000㎘로 750㎖짜리 기준으로 약 4400만병에 해당한다. 성인 1인당 한 해 1.2병을 소비한 셈이다. 이 가운데 수입산이 87.3%인 2만 900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도주 수입 비용은 1억 6650만달러로 우리 돈으로 약 2000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옛말에 아무리 좋은 것도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했다. 포도주 또한 과음으로 건강을 해치고, 마시다 남긴 것이 마구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천덕꾸러기가 되고 있다.

호텔과 연회장 등에서 남겨지는 포도주량은 5%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근거로 환경에 버려지는 포도주량은 연간 1600㎘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매년 약 100억원이나 되는 큰돈이 버려지는 셈이다.

포도주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13만 2000~13만 5000mg/L로, 750㎖ 기준 포도주 1병이 버려질 경우 좋은 물(BOD 3mg/L)이 되기 위해서는 약 50t의 맑은 물이 필요하다.

포도주는 심장질환과 뇌졸중에 의한 사망 위험률을 낮춰 주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

과음을 삼가고 마실 만큼 마신다면 건강에도 이롭고 환경보호에도 일조를 하게 된다.

건전한 포도주 소비문화가 정착되면 외화낭비를 줄임과 동시와 건강과 환경도 지키게 되는 셈이다. 환경을 지키는 일은 작은 것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잊지 말자.
2010-08-16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