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고한 원톱 신동빈 적극 지원… 이동우 한 달 ‘팔로어형 리더’

견고한 원톱 신동빈 적극 지원… 이동우 한 달 ‘팔로어형 리더’

심현희 기자
입력 2020-10-06 18:02
업데이트 2020-10-07 0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지주 새 대표이사 취임 후 변화

필리핀 펩시 등 해외법인 두 곳 매각
“지주는 그룹 미래 먹거리 발굴 전념”
지주 인원 약 20% 줄여 조직 슬림화
복장 자율화 등으로 조직문화 개선
연말 정기인사 영향력 제한적일 듯
지난달 1일 롯데지주의 새 대표이사로 공식 부임한 이동우 사장이 취임 한 달을 맞았다. 이 사장은 그룹의 2인자였던 황각규 전 부회장이 물러난 이후 견고해진 신동빈 회장의 원톱 체제를 지원하며 조직의 변화를 이끄는 ‘강한 팔로어십’을 가진 리더라는 평가가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이 사장은 취임 후 첫 행보로 지난달 10일 필리핀 펩시, 롯데주류 일본법인 등 해외법인 두 곳을 919억원에 롯데칠성음료에 재매각했다. 매각 대금은 롯데칠성음료 지분으로 받아 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다.

이는 지난 7월 하반기 사장단 회의에서 경영 효율화 및 계열사 책임 경영을 강조한 신 회장의 뜻을 따른 것이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해외 사업법인은 해당 사업을 진행하는 사업 계열사(롯데칠성음료)가 맡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 정리한 것”이라며 “앞으로 지주는 계열사 사업에 관여하기보다는 그룹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주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조직도 슬림해졌다. 지난 8월 롯데지주는 경영전략실을 경영혁신실로 바꾸며 기존 4개의 팀을 2개로 축소했다. 이후 이 사장은 취임 3주 만인 지난달 23일 인사를 내고 지주 전체 인원을 약 20% 줄였다. 2017년 10월 출범해 173명에 달했던 지주 소속 임직원 수가 현재 약 140명으로 줄었다. 연말 정기인사에서는 서울대로 통하는 ‘황각규 라인’을 정리하는 등 인원이 100여명 선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유통 공룡’인 롯데가 온라인 쇼핑,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실적 부진에 빠지자 신 회장은 지주의 책임을 물었고, 이 사장이 오자마자 ‘다운사이징’을 실행하고 있다.

조직은 축소됐으나 ‘젊은 CEO’의 영향으로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유연해지고 젊어졌다. 이 사장은 1960년생으로 신 회장과 함께 롯데지주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송용덕 부회장보다 다섯 살 어리다. 지난 6월부터 복장 자율화를 실시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를 활성화하면서 유통기업 가운데 가장 보수적이라는 소리를 들었던 롯데의 조직문화도 바뀌고 있다. 이 사장은 의전을 중시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스타일이지만 친화력도 강하다는 평이다.

업계에선 그룹의 연말 정기인사를 주목하고 있다. 지금까지 이 사장은 신 회장이 그려 놓은 그림에 따라 경영을 해 왔으나 다가오는 인사에서 본인이 구상한 리더십을 보여 주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다만 비(非)서울대이자 롯데그룹 정책본부를 거치지 않은 그룹 비주류 출신으로, 신 회장에 의해 발탁됐으며 황 전 부회장이 맡았던 다른 모든 직함을 승계하지도 않는다는 점에서 역할이 매우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이 사장은 강력한 ‘2인자 파워’를 가졌던 전임 황 전 부회장과 달리 위기관리와 사업부문(BU)장들과의 협업, 지원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CEO”라며 “정기인사에서도 이 사장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10-0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