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전자 지분 사들일까?

삼성물산, 전자 지분 사들일까?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4-11 22:52
업데이트 2018-04-12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이오’ 주식 매입계획 부인 불구 ‘지주사 역할’ 등 향후 행보 주목

생명, 금산분리 숙제와도 맞물려

삼성SDI가 그룹의 순환출자 고리 해소에 나서면서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에도 시동이 걸렸다.

삼성SDI는 11일 삼성물산 지분 매각을 마무리했다. 이로써 그룹에 남은 순환출자 고리는 7개에서 4개로 줄어들었다. 나머지 고리 해소를 위해서는 삼성전기(2.61%), 삼성화재(1.37%)가 갖고 있는 삼성물산 주식 총 4.0%를 처분해야 한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지분 매각을 위한 임시 이사회 일정은 아직 잡힌 게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삼성그룹 관계자는 “구체적인 시기와 방법은 정해지지 않았을 뿐 이미 밝힌대로 삼성전기, 삼성화재 지분도 곧 매각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이자 수혜주로 부상한 삼성물산의 행보도 관심사다. 앞서 계열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을 사들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삼성물산은 전날 공시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나 현재 주식 매입 계획은 없다”고 부인했다. 이에 따라 그룹 중심축인 삼성전자 지분을 사들여 지주회사 역할로 갈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는 금융 계열사인 삼성생명이 금산(금융·산업)분리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전자 주식을 처분해야 하는 숙제와도 맞물려 있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주식 8.23%를, 삼성화재는 1.44%를 각각 갖고 있다. 삼성전자가 올 상반기 예고한 대로 자사주 소각을 하게 되면 두 회사의 총 지분은 9.67%에서 10.43%로 높아진다. 금산법(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10%를 초과하는 0.43% 지분을 팔아야 한다.

금산법과 별개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전날 “금산 분리 문제가 (삼성의) 가장 어려운 해결 과제”라고 재차 강조하며 삼성을 우회 압박했다. 올해 7월부터 적용되는 금융그룹 통합감독제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삼성생명에 비금융계열사와의 출자, 자금거래 중단을 법적 수준 이상으로 권고할 수 있다. 즉 삼성전자 지분을 0.43% 이상 팔아야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4-12 2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