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네트워크’가 한국 수출 성장 이끌었다

‘FTA 네트워크’가 한국 수출 성장 이끌었다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1-04 22:20
업데이트 2018-01-04 2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52國 수출 전년比 19.6%↑

전체 수출 증가율보다 3%P 높아
수출액 中·증가폭 덴마크 ‘최고’


우리나라가 맺은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가 지난해 수출 성장세를 이끈 ‘일등공신’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FTA 발효 52개국을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지난해 1∼11월 기준 3803억 5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수출 증가율(16.5%)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FTA 발효국 대상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5247억 9700만 달러)의 72.5%를 차지했다.

2016년만 해도 이 비중이 70.7%였던 점을 감안하면 FTA 발효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아졌다고도 볼 수 있다.

FTA가 발효되면 매년 단계적으로 관세가 철폐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양국의 무역액은 늘어나게 된다. 다만 FTA 발효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율은 15.9%로 전체 수입 증가율 18.2%보다는 낮았다.

이에 따라 FTA 발효국 대상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1059억 4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 규모인 899억 8800만 달러보다도 많은 것이다.

국가별로는 선박과 자동차 수출이 많이 늘어난 호주가 178.1% 증가했고, 덴마크가 266.9% 늘었다.

우리나라의 수출 3위 대상국인 베트남으로의 수출도 전년보다 48.4% 늘었다. 수출 금액은 FTA 발효 3년차를 맞은 중국이 14.1% 늘어난 1282억 590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4.3% 증가한 633억 16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1-05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