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업 경영] CJ대한통운, 전기 택배차·에너지숲·옥상 태양광 선도

[에너지·기업 경영] CJ대한통운, 전기 택배차·에너지숲·옥상 태양광 선도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06-28 23:16
업데이트 2017-06-29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CJ대한통운은 친환경 전기 택배차 도입, 공간 활용을 통한 녹색사업 등으로 물류 분야의 에너지 경영을 주도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직원이 전기택배차를 충전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1월부터 제주에서 국내 최초로 전기택배차를 운영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 직원이 전기택배차를 충전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1월부터 제주에서 국내 최초로 전기택배차를 운영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은 지난해 11월부터 제주에서 국내 최초로 전기택배차 운영을 시작했다. 차량 내부에 운행정보 수집 장비와 블랙박스를 설치해 기후, 운전패턴, 충전시간 및 횟수 등 데이터를 축적해 최적의 운영 방안을 개발하고 있다. 앞서 같은 해 9월에는 광주시, 조이롱코리아와 전기화물차 생산을 위한 3자 협약을 맺기도 했다.

또 CJ대한통운은 2013년 산림청, 한국도로공사, 녹색연합과 ‘고속도로 폐도 에너지숲 조성 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숲 조성에 협력하고 있다. 현재 강원 원주시, 횡성군, 평창군과 전남 담양군 등 5곳의 폐고속도로 부지에 약 3만 9000㎡ 규모로 에너지숲이 조성돼 있으며, 약 2만 3000주의 나무가 심어져 있다. 이는 국제 규격 축구장 5개보다 큰 넓이다. 에너지숲에서 키운 나무는 2~3년 정도 뒤에 벌목해 목재 펠릿으로 가공, 복지시설 등에 난방 연료로 공급한다. 유휴 공간인 물류센터 옥상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도 눈길을 끈다. CJ대한통운은 경기 군포와 경남 양산 복합물류터미널에 있는 물류센터 8개 동의 옥상에 전체 면적 3만㎡(약 9000평)에 이르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연간 2㎿에 달하며,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연간 1300여t 절감할 수 있다. 이는 소나무 묘목 27만 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6-29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