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중단 없다지만… ‘카뱅’ 과속 주의보

대출 중단 없다지만… ‘카뱅’ 과속 주의보

최선을 기자
입력 2017-07-30 23:08
업데이트 2017-07-31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좌 80만건·대출 2000억 돌파

케이뱅크처럼 자금 유동성 우려
“금융사 대주주… 증자 문제 없어”
인터넷 전문은행 2호 카카오뱅크는 초대형 태풍이었다. 출범 나흘째인 30일 계좌 개설 수가 80만건을 돌파했다. 대출액도 2000억원이 넘었다. 카카오뱅크의 가입자 수와 대출 증가 속도가 너무 빨라 케이뱅크처럼 신용대출 중단 사태가 닥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카카오뱅크 측은 “유동성 관련 모든 시나리오에 대비 중”이라며 자신했다.

카카오뱅크는 30일 오후 3시 현재 신규 계좌 수가 82만 600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27일 오전 7시 서비스 오픈 이후 주말에도 가입 행렬이 이어지면서 앱 다운로드는 148만건을 돌파했다. 카카오뱅크앱은 출범 이틀째인 28일 오후 10시쯤 다운로드 100만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여수신도 상당하다. 예·적금 2750억원, 대출 2260억원을 돌파했다. 여수신 합해 50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 4월 출범한 케이뱅크가 나흘째에 10만 계좌, 예·적금 730억원, 대출 410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계좌수는 8배, 예·적금은 약 4배, 대출은 약 5배를 넘는 놀라운 속도다. 카카오뱅크에 대한 ‘클릭 폭주’에는 케이뱅크가 신용대출을 중단하자 대출자들이 카카오뱅크로 몰려 반사이익을 보았다는 분석도 있다.

카카오뱅크의 놀라운 성과가 쭉 계속되려면 가장 큰 걸림돌인 ‘은산분리’ 완화 법안이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을 10%까지만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뱅크의 KT와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는 설립을 주도했지만, 지분을 각각 10%만 보유하고 있다. 대출이 늘어나 자기자본비율(BIS)을 맞추려면 증자가 불가피한데 은산분리 규제하에서는 KT나 카카오가 지분을 늘릴 수 없다.

카카오뱅크는 자본금이 3000억원으로 케이뱅크보다 500억밖에 많지 않다. 대출증가 속도 탓에 케이뱅크처럼 대출 중단이 없으리란 보장이 없다. 물론 이용우 카카오뱅크 공동대표는 출범식에서 “은산분리가 개정되지 않아도 증자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한국투자금융지주가 58%의 지분을 가지고 있고 지주 존재 자체가 자회사의 자금 확충이 기본 목적”이라고 말했다. 금융회사가 최대 주주이기 때문에 비금융사인 KT가 최대 주주인 케이뱅크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7-07-31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