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겁나지만 금리 경쟁 안한다” 취임 100일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배짱

“인터넷은행 겁나지만 금리 경쟁 안한다” 취임 100일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배짱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4-06 22:36
업데이트 2017-04-06 23: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년 지켜봐야… 한계 있을 것” 모든 영업점 방문 등 현장 강조

김도진 기업은행장은 인터넷전문은행 돌풍에 “겁이 덜컥 난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짜 의중은 그다음 말에 있었다. 김 행장은 “1년 정도 지나야 인터넷전문은행의 위상이 정리될 것”이라면서 “(당장 돌풍이 인다고 해서 케이뱅크 등과) 금리 경쟁은 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도진 기업은행장
김도진 기업은행장
김 행장은 6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일본의 인터넷전문은행 지분뱅크 얘기를 꺼냈다. 일본 인구가 1억 2000만명인데 지분뱅크의 고객 수는 200만~300만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김 행장은 “신용등급이 높은 (1~3등급) 고객들은 기존대로 은행과 거래하고 그 아래 4~6등급 고객이 저축은행 등에서 인터넷전문은행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면서 “이런 중간 등급 고객 수는 한정돼 있어 인터넷전문은행이 무한정 커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대출이 늘어 연체가 나오기 시작하면 심사부, 관리부 등의 조직을 갖출 수밖에 없어 지금 같은 저비용 구조를 계속 가져가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래서 1년 뒤 인터넷전문은행의 모습이 궁금하다는 김 행장은 “기업은행도 변화에 뒤떨어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지만 (인터넷은행이 고금리 상품을 내놓는다고 해서) 금리를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명히 말했다. “그러면 지게 된다”고도 했다.

기업은행의 지주회사 전환과 관련해서는 “추진해야 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일축했다. 그가 가장 공을 들이고 있는 곳은 현장이다. “책상에 올라오는 본점 보고서만으로 정책이 결정돼서는 안 된다”는 김 행장은 “결국 답은 현장에 있다”고 강조했다. ‘우문현답’(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을 강조해 온 그는 벌써 71개 지점을 찾았다. 임기 안에 전국의 모든 영업점을 방문할 작정이다. 성장금융, 재도약금융, 선순환금융 등으로 구성된 ‘동반자 금융’도 힘주어 추진할 방침이다. 김 행장은 “대기업 중심의 낙수효과가 금융위기 이후 약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4-0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