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주 서울 아파트값 고공행진…부동산 대책 약발 시들?

새해 첫 주 서울 아파트값 고공행진…부동산 대책 약발 시들?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8-01-05 12:48
업데이트 2018-01-05 1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해 첫주에도 서울 아파트 값이 큰 폭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1월 첫주 가격 상승폭으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부가 잇달아 내놓은 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떨어진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강남 아파트 단지
강남 아파트 단지
5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33% 올랐다. 이는 12월 22일(0.25%)과 지난주 12월 29일(0.29%)에 이어 3주 연속 상승 폭이 커진 것으로, 8·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8·2 대책 발표 직전인 작년 7월 28일 조사 때 0.57%로 정점을 찍었고, 대책 발표 직후인 8월 4일 조사 때 0.37% 이후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변동률이다.

지난해 1월 둘째 주(-0.01%) 이후 하락 없이 49주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 등 재건축 이슈와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며, 보유세 개편 등의 예고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크게 동요하지 않는 분위기가 짙어 당분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과 부동산114의 설명했다.

강남구는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모두 거래 매물은 적은 가운데 일부 아파트가 거래되면 호가가 오르는 상황이 반복됐다.

압구정동 신현대, 한양3차, 개포동 주공1단지, 역삼동 역삼래미안,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등이 500만~1억5천만원 상승했다.

송파는 잠실동 대단지와 문정동, 방이동 등 재건축 이슈와 지하철 9호선 노선 연장 등의 영향으로 송파동 삼익, 신천동 진주,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잠실동 레이크팰리스 등이 500만~1억원 올랐다.

광진구는 저평가됐다는 인식으로 수요가 유입됐고, 양천구는 정비계획안 발표 등 재건축 ‘밑그림’이 나오면서 강세가 지속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