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들, 한국 외교문서 노린다

해커들, 한국 외교문서 노린다

입력 2013-07-24 00:00
업데이트 2013-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부·재외공관 해킹 시도 4년새 2배… 北 의심 사례도

외교부와 재외공관을 표적으로 한 해킹 시도가 최근 4년 동안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에 대한 해킹 시도에는 원천 공격지가 북한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외교부에 따르면 올해 3월까지 외교부 웹서버와 재외공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1027건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09년 1309건이었던 사이버 공격 시도는 2010년 1941건, 2011년 2686건, 지난해 2381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올해 말까지 4000여건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외교부 직원들의 이메일 계정으로 수신되는 악성 메일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009년 24건에 불과했던 악성 메일은 올해 1분기에는 144건으로, 정보 탈취를 위한 악성코드가 숨겨진 경우도 있었다.

사이버 공격의 대부분은 외교부 홈페이지와 웹서버에 대한 해킹 시도 등으로 파악됐다. 국내외 해커들이 웹서버나 홈페이지의 취약점을 탐색하는 ‘스캐닝’ 기법이 대부분이지만 일부 공격의 경우 외교문서를 훔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8년에는 주미 한국대사관 홈페이지가 해킹으로 인해 변조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외교 기밀이 보관되는 외교정보망의 경우 인터넷망과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에 해커들이 외교 기밀을 빼가는 건 불가능하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국방부도 인터넷과 국방전산망을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

외교부는 원천 공격지가 북한으로 의심되는 일부 사례의 경우 국가정보원과 공동 대응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또 장관 주재의 실·국장회의에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원격 도청을 차단하기 위해 회의장에는 스마트폰을 갖고 들어갈 수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3-07-24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