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 ‘고령자 가구’ 1000만 돌파
집안 생계를 책임지는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가 2038년 1000만 가구에 접어들고 2052년엔 전체 가구의 절반을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2037년 전체 가구에서 ‘나혼자 사는’ 가구 비중이 4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30년 뒤에는 1인가구의 절반이 65세 이상 독거노인일 것으로 분석됐다. 2052년에는 혼자 살거나 부부끼리만 사는 핵가족이 전체의 80%에 육박할 예정이다.
통계청은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2052년 장래가구추계를 발표했다. 저출산·고령화의 가속화와 맞물려 변화하는 가족의 형태와 사회상이 담겼다.
평균 가구원 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34년 1.99명으로 줄어드는 등 2.0명선이 처음 무너진다. 동시에 고령화로 가구주의 연령은 지속적으로 올라간다. 가구주는 주민등록상 세대주와 관계없이 실질적으로 가구 생계를 책임지는 개념이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2022년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12.2세가 높아진다. 가구주가 고령화 영역에 들어서는 것이다. 지난 2022년에는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지만 2052년에는 70대 이상이 4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 5000가구에서 2038년 1003만 가구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2052년에는 1178만 8000가구로 2022년보다 2.3배 증가한다.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52년 50.6%로 절반을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738만 9000가구였던 1인가구는 2052년에는 962만 가구로 늘어난다. 전망대로라면 2022년 34.1%였던 1인가구 비중은 15년 뒤인 2037년 40%를 돌파한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독거노인이 늘어나는 현상과 맞물려서다.
자녀 없이 부부끼리 사는 가구가 증가한다. 2052년 2인가구는 35.5%로 예측됐다. 1~2인 가구의 비중은 76.8%에 달한다. 10가구 중 8가구가 혼자 또는 둘이 산다는 의미다.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젊은층에선 혼인율이 떨어져 부부가구가 줄고 고령층에선 기대수명이 늘어 부부가구가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2024-09-13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