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껍질 흉내 낸 생체 이식형 소자 개발

조개껍질 흉내 낸 생체 이식형 소자 개발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09-24 15:21
업데이트 2017-09-24 15: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개 껍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응용해 면역 거부 반응을 없앤 ‘생체 이식형 소자’가 처음으로 개발됐다.

 한양대 박원일 교수팀과 미국 시카고대, 아르곤국립연구소, 중국과학기술대, 영국 사우샘프턴대가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내용의 연구결과를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

 생체 이식형 소자는 최근 주목받는 웨어러블 기기의 일종이다. 몸 속에 이식돼 건강정보를 측정·수집한 뒤 외부로 전송하는 기기다. 다만 지금까지 개발돼 출시된 소자 대부분은 생체 친화성이 낮아 몸 속에 들어가면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소자를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데다 소자의 핵심 물질이 시간이 지나면서 파손되는 경우도 많았다.

 연구진은 조개 껍질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일종의 무기질 껍질을 만들어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 뒤 피부 콜라겐과 결합돼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했다. 조개의 딱딱한 껍질은 탄산칼슘, 인산칼슘, 실리카 같은 무기물질과 칼슘, 탄소, 인과 같은 유기물질이 결합되는 ‘바이오 미네랄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능동형 보호막 구조는 생체 친화적 물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몸 안에서 소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생체 거부 반응이 없어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