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총수 연관 업체’ 3곳 공시 부담…“자사와 무관”

네이버 ‘총수 연관 업체’ 3곳 공시 부담…“자사와 무관”

입력 2017-09-03 13:31
업데이트 2017-09-03 1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해진 100% 소유 회사 자산 642억원…“순수 개인 재산 운용사”

네이버가 이해진 창업자 겸 전 이사회 의장이 ‘총수’인 준(準) 대기업으로 지정되며, 이 전 의장 측이 소유·지배하는 기업 3곳에 관해 공시해야 할 의무를 지게 됐다.

네이버는 “3개 업체 모두 자사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으나 공정거래위원회가 해당 기업과 네이버 사이의 불공정 거래 여부에 관해 계속 감시할 예정이라 적잖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규제 당국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가 지목한 이 전 의장 측 회사는 ‘지음’, ‘화음’, ‘영풍항공여행사’다.

이 중 지음은 이 전 회장이 100% 주식을 가진 회사이며, 화음과 영풍항공여행사는 이 전 회장의 친족이 지분을 각각 50%와 100% 보유한 곳이다.

해당 회사는 네이버의 총수(동일인)인 이 전 회장의 이익과 연관성이 크다는 특성 때문에 다른 공식 계열사와 함께 묶여 공시 의무가 적용된다.

예컨대 네이버 본사 및 타 계열사와의 거래 내용과 지배 구조, 회사 현황 등을 공개해야 한다. 이는 재벌 총수가 그룹을 동원해 특정 회사에 특혜를 주는 ‘사익 편취’를 방지하고자 도입된 제도다. 공정위는 또 이런 회사들과 관련해 ‘일감 몰아주기’ 등의 의혹이 있으면 별도 조사를 할 수 있다.

이 회장 측 회사 중 가장 덩치가 큰 곳은 컨설팅 업체인 지음이다. 지음은 자산이 작년 기준 약 642억원에 달하는 곳으로 지금껏 외부에 그 존재나 사업 내용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지음은 애초 공시 의무가 없는 유한회사라 매출이나 직원 수 등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 회사는 네이버 분당 본사 인근의 한 빌딩에서 1개층 일부를 쓰다 올해 3월 주소를 분당의 228㎡급 아파트로 옮겼다.

네이버는 이와 관련해 “지음은 이 전 의장이 사재를 출연해 2011년 11월에 설립한 개인 자산 운용사로 일본·싱가포르에 100% 자회사를 갖고 있다”며 “미래세대 사업 벤처나 일본의 라면 장인 업소 등에 투자를 해왔으며 네이버와는 어떤 사업적·금전적 연관도 없다”고 밝혔다.

화음은 요식업 업체이며, 영풍항공여행사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사무실을 둔 여행 관련 기업이다. 이 2개 업체는 자산 총합이 수십억원 수준이라 지음과 비교해서는 규모가 작다.

네이버는 “화음은 이 전 의장의 사촌이 지분 50%를 가진 대표로 재직하고 있으며, 영풍항공여행사는 이 전 의장 6촌(부친 사촌의 아들)의 배우자가 대표 겸 100% 소유주”라며 “두 회사 역시 네이버와 아무 연관이 없다”고 전했다.

현재 공정위는 지음 등 3개사에 관해 불법 행위가 적발되진 않았다고 밝힌 상태다. 준 대기업 지정과 함께 총수 관련 회사를 지목하는 단계여서 세부 문제 여부는 파악이 안 됐다는 얘기다.

네이버는 앞서 이 전 의장의 대기업 총수 지정이 부당하다고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네이버는 이 전 의장 측 회사의 공시 의무에 관해 “앞으로 법이 정한 의무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위의 준 대기업 지정은 매년 새로 진행된다. 이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이 전 의장이 등기 이사 사임과 지분 매각 등의 방법을 통해 내년 총수 지정을 피하려고 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근거 없는 낭설이며 정해진 바가 없다”고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