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닭 튀길 때 값도 튀겼다

[단독] 닭 튀길 때 값도 튀겼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7-09-01 22:34
업데이트 2017-09-02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랜차이즈 닭 유통가격 첫 고시

생닭 1300원→소매가 1만 7000원
프랜차이즈 가격 인하 요구 커질 듯
양계장을 나온 1300원짜리 닭이 정작 치킨으로 소비자들의 식탁에 오를 때는 1만 7000원으로 ‘널뛰기’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닭고기 공급가가 최종 치킨 판매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채 10%도 되지 않는 셈이다. 닭고기 가격의 민낯이 드러난 것이다.

1일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처음 공개된 닭고기 유통 단계별 가격 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위탁생계가격’(농가가 계열화 업체에 납품하는 생닭 가격)과 ‘생계유통가격’(계열화 업체에 속하지 않은 농가가 거래하는 생닭 가격)은 각각 ㎏당 평균 1329원, 1300원이다.

프랜차이즈 업체의 치킨 가격이 평균 1만 6000~1만 8000원인 점을 감안하면 닭고기 공급가는 치킨 판매가의 7~8%에 불과하다.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치킨 재료로 생닭 1㎏짜리인 10호(951~1050g)를 주로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계열화 업체가 생닭을 도계(머리와 내장 등 제거)한 후 이윤을 덧붙여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 등에 납품하는 ‘도매가격’은 생닭 가격의 2배인 ㎏당 평균 2678원이다. 프랜차이즈 업체가 부담하는 닭고기 납품가는 치킨 판매가의 15% 정도인 셈이다.

이는 지난봄 치킨값 인상 논란 때 농식품부가 공개했던 평균 가격에 비해 훨씬 낮아진 것이다. 당시 농가가 계열화 업체 등에 닭을 공급하는 가격은 평균 2560원, 계열화 업체가 프랜차이즈 본사에 닭을 납품하는 가격은 평균 3490원이었다.

이런 가격 정보가 맞다고 전제했을 때 치킨값을 올리기보다는 내릴 요인이 더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더욱이 프랜차이즈 업체에 납품되는 도매가격(지난달 31일 기준 2665원)은 대형마트에 개별 포장돼 공급되는 도매가격(3083원)보다도 싸다. 또 지난 한 달 동안 생계유통가격의 등락폭은 최대 618원(최저 878원, 최고 1496원)에 달했으나 프랜차이즈 업체가 주로 거래하는 위탁생계가격의 등락폭은 22원(최저 1325원, 최고 1347원)에 불과할 정도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치킨업계는 “닭고기 원가 외에도 인건비와 임대료, 마케팅 비용 등 고려해야 할 가격 요인이 많다”며 요지부동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9-02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