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1000원 김밥’…분식물가도 고공행진

사라진 ‘1000원 김밥’…분식물가도 고공행진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7-06-26 22:14
업데이트 2017-06-26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란·라면값 영향 6.4% 올라…전체 생산자물가 상승폭의 2배

김밥과 떡볶이, 라면 등 ‘분식집 외식’ 물가가 큰 폭으로 뛰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분식 및 김밥전문점 생산자물가지수가 130.14로 지난해 같은 기간(122.33)보다 6.4% 올랐다. 같은 기간에 생산자물가 총지수 상승폭(3.5%)의 두 배에 육박한다. 중식(3.5%)과 한식(2.4%), 일식(1.8%), 서양식(1.6%), 치킨전문점(1.6%)에 비해서도 상승폭이 훨씬 컸다.

김밥과 떡볶이, 라면(외식)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도 크게 올랐다. 지난달 김밥과 떡볶이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각각 8.6%, 2.7% 올랐다. 라면(외식)은 4.8% 상승했다. 이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0%이다.

서울시 물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26개 식당에서 김밥 평균 가격은 2140원이었다.

최고가는 3000원(4개 식당), 최저는 1500원이었다. 조사 대상이 한정적이긴 하지만 1000원짜리 김밥은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5월에 조사한 22개 식당의 김밥 가격 평균은 2060원이었다. 분식집 물가 상승에는 프랜차이즈 분식집 등장과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인한 계란값 상승, 라면 가격 상승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06-2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