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사원 채용 100명 지원 시 2.8명 합격…구직난 심화

대졸사원 채용 100명 지원 시 2.8명 합격…구직난 심화

입력 2017-06-18 11:07
업데이트 2017-06-18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 경쟁률 35.7 대 1…면접 중요도↑·스펙은 최소 고려

올해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채용전형에서 지원자 100명 중 2.8명만이 최종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경쟁률은 2년 전보다 10% 이상 높아져 청년층의 구직난이 더욱 심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7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취업 경쟁률은 평균 35.7 대 1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 기록인 평균 32.3 대 1보다 10.5% 높아진 것이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의 취업 경쟁률이 38.5 대 1로 조사돼 5.8 대 1 수준인 300인 미만 기업보다 월등히 높았다.

2015년과 비교하면 300인 이상 기업의 취업 경쟁률은 7.8% 상승한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12.1% 하락했다.

채용과정 중 면접전형의 경우 300인 이상 기업이 100%, 300인 미만 기업은 97.5%가 시행했다.

‘2회 면접’ 비중은 300인 이상 기업이 78.9%, 300인 미만 기업이 46.9%였다.

필기전형은 300인 이상 기업의 52.6%, 300인 미만 기업의 11.9%가 시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업으로 따지면 시행 비중은 2015년 15.9%에서 올해 19.7%로 늘었다.

서류-필기-면접 등 3단계 전형을 시행하는 기업에서 생각하는 과정별 중요도는 면접이 56.2%로 가장 높았고 필기(19.6%)가 가장 낮았다. 서류는 24.2%였다.

300인 이상 기업의 76.7%는 ‘스펙’을 서류전형 시 최소한의 자격요건으로만 활용한다고 응답했다. 대다수가 구직자의 지원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만 스펙을 활용한다는 의미다.

스펙이 채용과 무관하다는 답변은 300인 이상 기업이 14%, 300인 미만 기업은 36.3%였다.

스펙을 채용과정 전반의 핵심요소로 활용하는 경우는 300인 이상 기업 9.3%, 300인 미만 기업 6%로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가장 적었다.

기업들은 우수인재를 유인하기 위해 내세우는 요인으로 기업의 성장 가능성(27.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고용 안정성(24.4%), 일과 삶의 균형이 가능한 근로조건(20.8%) 등 순이었다.

다만 300인 이상 기업은 높은 임금 수준과 다양한 복지제도(26.3%)를 우수인재 유인 방안으로 내세워 기업의 성장 가능성(29.6%)을 강조하는 300인 미만 기업과 차이를 보였다.

기업 10곳 중 7곳(65.4%)은 인턴 등 유사직무 경험을 채용에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 중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은 17.9%,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답변은 47.5%였다.

유사직무 경험이 채용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34.6%를 기록했다.

bryoon@yna.co.kr

(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