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기조 맞춰 다시 뜨는 ‘착한 투자’

새 정부 기조 맞춰 다시 뜨는 ‘착한 투자’

최선을 기자
입력 2017-06-13 15:04
업데이트 2017-06-13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정부 들어 경제민주화와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이 강조되면서 ‘착한 투자’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기업의 수익성뿐 아니라 사회적 성과도 중요한 투자 잣대로 삼는 사회책임투자가 뜨고 있는 것이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공적 연기금이 자산을 운용할 때 반드시 ‘ESG’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다. 환경이나 사회 문제, 지배구조 개선 등에 힘쓰는 기업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에 따라 금융투자업계는 잇따라 사회책임투자 펀드 출시에 나서며 경제정책 기조에 발을 맞추고 있다.


하이자산운용은 지난달 ‘하이사회책임투자’ 펀드를 내놓았다. 하이자산운용 측은 “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 지침인 스튜어드십 코드가 우리나라에도 도입됐기 때문에 올 하반기부터는 사회책임투자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자산운용은 7월 내 출시를 목표로 지배구조·배당정책까지 고려해 종목을 고르는 사회책임투자 펀드를 준비 중이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주축이 된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도 출범했다. 임팩트금융은 사회·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에 투자하고 금융 취약계층 등에 돈을 빌려준다. 올해 안에 시장가격보다 훨씬 싸면서도 일정 수익은 보장하는 주택 관련 펀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사회책임투자는 1970년대 무기·담배·도박 등 ‘죄악주’ 종목에 대한 투자 배제에서부터 시작됐다. 1990년대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유럽 연기금을 중심으로 ‘착한 투자’가 본격화됐다. 기업이 사회 전반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재무적인 성과를 따지기 시작한 것이다.

지난해 전 세계 사회책임투자 규모를 보면 유럽이 12조 400억 달러로 전체의 52.6%를 차지한다. 미국, 캐나다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아시아는 일본을 빼면 520억 달러(0.2%)에 불과했다. 일본은 대형 연기금을 중심으로 사회책임투자를 적극 활용하면서 2014년 70억 달러에서 지난해 4740억 달러로 규모가 크게 늘었다.

이에 반해 국내 사회책임투자 규모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기준 6조 3700억원 규모의 책임투자형 펀드를 위탁운용하고 있다. 전체 기금 규모의 1% 수준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설정된 공모형 사회책임투자 펀드 규모는 2500억원에 불과하다. 2008년엔 설정액 2조원을 넘겼지만 이후 성과가 부진하면서 인기가 시들해졌다. 최근 코스피 랠리로 수익률이 좋아졌지만 자투리 펀드들만 남아 그나마 설정액 100억원이 넘는 것은 5개뿐이다.

사회책임투자가 좀더 활성화되려면 국민연금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투자업계는 국민연금이 하반기 중 기금운용 지침에 ‘책임투자를 이행한다’는 내용을 반영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이 책임투자를 확대한다면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 사회책임투자 펀드 경험이 있어야 유리할 것이므로 운용사들도 앞다퉈 관련 상품을 출시할 것”이라면서 “향후 2~3년 동안은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