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에도 한국 화장품 중국에서 인기…1분기 수출 27% 증가

사드 보복에도 한국 화장품 중국에서 인기…1분기 수출 27% 증가

입력 2017-04-20 10:57
업데이트 2017-04-20 1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 화장품 수출 32% 늘어…유럽으로 수출도 빠르게 확대

화장품 수출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화장품 수출액은 9억3천500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2.1% 증가했다.

한류 바람을 타고 화장품 수출은 2012년 8억3천100만 달러에서 연평균 42.7%씩 늘어 지난해 사상 최대인 34억4천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여파로 중국이 큰 시장인 화장품 수출도 주춤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1분기에도 증가세는 지속됐다.

화장품 품목별로 보면 토너(스킨), 로션, 에센스 등 기초화장용 제품이 지난해 전체 화장품 수출의 48.7%인 16억7천800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기초화장용 제품은 2012년(3억9천400만 달러)과 견줘 4.3배나 늘었다.

메이크업 베이스, BB크림 등 메이크업용 제품 수출액은 3억4천200만 달러로 기초화장용 제품 다음으로 수출액이 컸다. 2012년(9천900만 달러)과 비교하면 3.5배 증가했다.

눈화장용 제품(1억3천500만 달러), 입술화장용 제품(8천700만 달러) 수출액은 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제품보다 작았지만 2012∼2016년 연평균 성장률이 각각 42.8%, 59.8%로 빠르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으로 수출액은 전체의 36.1%에 달하는 12억4천400만 달러였다.

중국은 2000년 이후 쭉 한국의 화장품 수출국 1위 자리를 지켰다.

올해 1분기에도 중국으로 화장품 수출은 3억3천700만 달러를 기록, 전체 화장품 수출의 36.1%를 차지하며 1년 전보다 26.9% 증가했다.

전체 화장품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가장 높다.

관세청 관계자는 “지난해 10월부터 고가 화장품에 대한 소비세가 30%에서 15%로 인하한 점과 기능성 화장품이 늘어난 점이 중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화장품 본고장인 유럽연합(EU)으로 수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대 EU 화장품 수출액은 8천600만 달러로 2012년보다 347.9% 성장했다.

특히 같은 기간 이탈리아로의 수출은 3천765.7%, 스페인에 대한 수출은 863.7%, 프랑스에 대한 수출은 811.1% 증가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화장품 수출국 다변화, 기능성과 함께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한국산 화장품이 나오고 한류 열풍과 함께 수출 증가세가 이어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