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만개 ‘1㎜ 홀’ 혁신… 35만대 판매 무풍에어컨 성지

13만개 ‘1㎜ 홀’ 혁신… 35만대 판매 무풍에어컨 성지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7-04-19 22:44
업데이트 2017-04-19 2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가보니

최첨단 금형기술로 미세구멍 구현
빠른 손놀림… 14초에 한대꼴 생산


‘드르륵 드르륵.’
이미지 확대
지난 18일 광주 광산구 오선동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에어컨 생산라인에서 직원들이 무풍에어컨을 조립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지난 18일 광주 광산구 오선동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에어컨 생산라인에서 직원들이 무풍에어컨을 조립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지난 18일 광주 광산구의 하남산단에 위치한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의 ‘무풍에어컨’ 생산 현장. 작업자들이 한 손에 드릴을 들고 쉴 새 없이 나사를 조이고 있다. 모니터에는 이날 목표 생산대수(2705대·한 개 라인 기준)와 현재 생산 대수(832대·오전 11시 기준)가 표시돼 있다. 작업자 한 명당 생산 대수도 실시간으로 뜬다.

오전에는 1번 셀 작업자가 72대로 해당 라인 중에선 가장 많은 에어컨을 조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치 경연 대회를 하듯 작업자들이 빠른 손놀림으로 조립을 한 결과 라인 끝에서는 완성된 제품이 14초에 한 대꼴로 생산되고 있었다. 최종식 삼성전자 글로벌제조팀 차장은 “주문이 쇄도하고 있다”면서 “지난 1분기 생산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늘었다”고 말했다.

광주공장이 주말도 잊은 채 6개 라인을 풀가동하는 이유는 지난해 1월 출시된 무풍에어컨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무풍에어컨은 15개월 누적 판매량이 35만대에 달한다. 이 에어컨이 인기를 끄는 건 찬바람이 피부에 닿지 않아서다. 바람에 냉기를 실어 나르는 방식과 달리 에어컨 겉면에 뚫린 미세한 구멍(13만 5000개)을 통해 냉기를 확산시킨다. 미세한 구멍이 무풍에어컨의 핵심 기술인 셈이다.

그런데 이 기술은 금형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구현하기가 어렵다. 삼성전자가 별도의 금형 공장을 두고 무풍에어컨에 들어가는 철판을 별도로 작업하는 배경이다. 금형 공장은 에어컨 생산 공장에서 차로 15분 남짓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 공장 내 프레스동에서는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더라도 어떻게 수십만 개의 미세한 구멍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금형으로 직경이 1㎜인 구멍을 연속해서 뚫게 되면 금형 온도가 올라 철판이 파손된다. 무풍에어컨의 경우 1분에 200회가량 구멍을 낸다.

박재홍 삼성전자 금형기술팀 수석은 “냉각수를 활용해 80도까지 치솟는 온도를 40~50도 낮추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광주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4-20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