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세타2엔진 장착 차량 17만대 리콜

현대·기아차 세타2엔진 장착 차량 17만대 리콜

류찬희 기자
입력 2017-04-07 13:22
업데이트 2017-04-07 1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22일부터… 그렌저(HG), 소나타(YF), K7(VG), K5(TF), 스포티지(SL) 포함

 현대·기아차가 엔진 결함 승용차 17만대를 리콜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현대·기아 자동차가 제작한 5개 차종 17만 1348대를 리콜한다고 7일 밝혔다. 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에 생산된 세타2엔진을 장착한 차량이다.
이미지 확대
기아 ‘K7’
기아 ‘K7’
 국토부는 세타2엔진 장착 차량이 주행중 시동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소비자 고발 및 일부 언론의 문제 제기에 따라 지난해 10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제작결함조사를 지시, 지난달 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고 오는 20일 제작결함평가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차가 제작결함을 인정하고 자발적 리콜 계획을 제출함에 따라 국토부는 제작결함 조사를 종료하고 현대차가 제출한 리콜 계획의 적정성만 평가할 계획이다. 정부가 행정적인 강제 리콜을 결정하기 전 제작사가 결함을 인정해 자체 리콜로 이뤄지게 됐다. 세타2엔진을 장착한 차량은 200만대 정도로 알려졌고, 현대차는 미국에서 이 엔진을 사용한 승용차 43만대 가운데 문제가 있는 차량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이번 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에 제작된 세타2엔진을 장착한 그렌저(HG) 11만 2670대를 포함해 소나타(YF), K7(VG), K5(TF), 스포티지(SL) 등이다. 연구원 조사결과 이번 리콜의 직접적인 원인은 크랭크 샤프트라는 엔진 부품에 오일 공급 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기계 불량으로 금속 이물질이 발생, 연료 소착현상(마찰열에 따라 금속 접촉면이 용접한 것처럼 되는 현상)이 일어나 주행 중에 시동이 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리콜은 다음달 22일부터 시작된다. 현대차는 전체 리콜대상 차량에 대해 문제가 있는 지 검사한 뒤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차량에 대해서만 개선된 엔진으로 무상 교체해주기로 했다. 따라서 실제 리콜이 이뤄지는 차량은 얼마나 될지 아직 미지수다.

 미국보다 ‘늑장 리콜’했다는 지적에 대해 현대차는 “2015년 미국에서 실시한 리콜과 국내 리콜은 결함 발생 원인이 다르다”며 “미국에서 발생했던 결함은 베어링 청결상태에 문제가 있었던 반면 국내에서 생산된 세타2엔진은 오일 공급 구멍 문제”라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