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로 번지는 블록체인…삼성·SK “우리도 키운다”

산업계로 번지는 블록체인…삼성·SK “우리도 키운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7-04-06 18:02
업데이트 2017-04-07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SDS 플랫폼 ‘넥스레저’
SKC&C ‘디지털 인증’ 등
기업용 서비스 개발 잇따라
이미지 확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불리는 ‘블록체인’ 기술이 금융권을 넘어 전 산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SDS, SK㈜ C&C 등 정보기술(IT) 솔루션 업체들이 기업 범용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면서다. 블록체인은 거래 기록을 중앙 집중형 서버에 기록, 보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거래 참가자 모두에게 내용을 공유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다.

●2022년 시장규모 11조원 예상

6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블록체인 시장 규모가 2022년 100억 달러(약 11조원) 규모로 커진다. 블록체인 기술이 보안성, 투명성, 신속성을 무기로 인터넷에 버금가는 혁명을 불러올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크지 않아 국내 기업들에 아직 선점 기회가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시장이기도 하다.

삼성SDS는 이날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를 비롯해 블록체인 신분증 및 지급결제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실시간 대량 거래를 손쉽게 처리하고 안전 거래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등 기존 블록체인 기술보다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SDS는 생체인증 솔루션을 넥스레저에 접목한 인증 서비스도 선보였다. 생체인증 정보가 블록체인으로 암호화돼 모바일 기기에서 한 차례 본인 인증을 거치면 추가 인증 없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송광우 삼성SDS 상무는 “블록체인 기술을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정보기술과 접목해 신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업에 국한하지 않고 공공, 제조, 물류, 유통 등 다양한 영역으로 뻗어나가겠다는 복안이다.

SK㈜ C&C도 지난달 29일 ‘블록체인 모바일 디지털 아이디(ID) 인증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별도의 가입 또는 ID 통합 절차 없이 금융, 통신,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원 아이디’를 실현한다. 이렇게 되면 특정 통신사의 디지털 ID를 보유한 소비자는 해당 통신사와 제휴를 맺고 있는 쇼핑몰, 금융기관, 영화관, 편의점 등에서 개인식별 숫자(PIN 코드) 입력만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앞으로 물류 경로 추적 및 물류 정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물류 유통 서비스 등 무역업 등에도 관련 기술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오픈소스 기반 국제표준 개발 중

해외에서도 IBM, 시스코 등 글로벌 업체가 컨소시엄 ‘하이퍼렛저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오픈소스 기반의 블록체인 표준을 개발 중이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 “초기 단계인 만큼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및 인력 양성을 위한 범국가적 차원의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4-0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