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여성, 12단계 화장이 대세…한국 화장품 가장 선호”

“中 여성, 12단계 화장이 대세…한국 화장품 가장 선호”

입력 2017-04-05 14:28
업데이트 2017-04-05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칸타 TNS코리아 ‘중국 여성 화장품 인사이트’ 보고서

중국 여성의 화장품 사용이 고도로 세분돼 20∼30대 중국 여성들은 평균 12단계의 화장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명 중 1명은 17단계 이상의 화장을 일상적으로 했다.

글로벌 시장 정보회사 칸타 TNS코리아는 중국의 소득 상위 70%인 20∼39세 여성 4천여명의 코스메틱 라이프를 연구?조사한 2017 ‘중국향’ 화장품 인사이트 보고서의 주요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의 응답자들은 피부 관리에 5.3단계, 피부 표현에 2.9단계, 색조 화장에 4.0단계 등 평균 12단계의 화장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 중 25%는 피부 관리 7개, 피부 표현 4개, 색조 화장 6개 등 총 17개 이상의 화장품을 바른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밤에 피부 관리를 위해 평균 5.5단계로 화장품을 바른다고 답했다. 2010년 칸타 TNS코리아가 조사했던 평균 2.7단계에서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피부 관리 중 마스크팩은 응답자의 70%가 저녁 스킨 케어 단계에서 사용한다고 밝혔다. 그중 14%는 저녁에 서로 다른 유형으로 마스크팩만 두 차례 이상 활용했다.

중국의 도시별 화장품 사용 행태도 주목해야 할 만큼 달랐다.

1년에 약 165만 원을 화장품 구입비로 지출하는 주요 대도시 여성들은 풍부한 화장품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별 히트 아이템을 선별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반면 그다음으로 큰 도시 여성은 주요 대도시 도시 여성과 엇비슷한 연 161만 원의 화장품 구입비를 씀에도 이들만큼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와 아이템을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화장품 구입에 연간 140만 원을 쓰는 중소 도시 여성들은 한 브랜드의 제품 라인 사용을 선호하고 적극적인 정보 탐색보다는 전문가의 뷰티 팁에 의존하는 성향을 보였다.

가장 선호하는 화장품 원산지를 묻는 말에는 응답자 43%가 한국을 꼽았다. 유럽이 22%로 뒤따랐다.

조사에 응한 약 90%의 응답자가 ‘향후 한국 화장품을 살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특히 한국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은 약 70%가 ‘한국 화장품 구입 의향이 매우 많다’고 밝혔다.

중국 여성 소비자들은 앞으로 구입하고 싶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로 라네즈(38.4%), 이니스프리(35.3%), 설화수(32.4%), 더페이스샵(27.4%), 마몽드(21.6%)를 꼽았다.

윤혜진 칸타TNS코리아 상무는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선호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 로컬 브랜드의 도전은 매우 위협적”이라며 “한국 화장품 기업들은 중국 화장품 소비자의 특성과 도시 및 권역 별로 다르게 진화한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예측하는 전략적 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