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시장 27년만에 20조원 넘었다…1∼2인 가구 영향

편의점 시장 27년만에 20조원 넘었다…1∼2인 가구 영향

입력 2017-04-04 09:53
업데이트 2017-04-04 09: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1~2인 가구 증가로 ‘나홀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국내 편의점 시장규모가 20조원을 돌파했다.

1989년 5월 세븐일레븐이 송파구 방이동에 국내 1호점을 선보인 지 27년 만이다.

4일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편의점 시장 규모(매출)는 20조4천억원으로 전년의 17조2천억원보다 18.6%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편의점 시장규모는 2011년 10조원을 넘어선 뒤 5년 만에 다시 20조원을 돌파하면서 고속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편의점 수도 3만2천611개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3만개를 넘어섰다.

2015년의 2만8천994개보다 12.5% 늘어난 수치다.

2014년 7.8%에 그쳤던 편의점 시장 성장률은 2015년 24.6%로 크게 뛰었으며 지난해에도 18.6%에 달했다. 유통채널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한 것이다.

극심한 경기침체로 백화점, 대형마트 등 여타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에도 편의점은 1~2인 가구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나 홀로 성장’하고 있다.

초창기 음료와 과자 위주로 비교적 단순했던 편의점 상품 구성도 최근에는 다채로운 일회용 도시락과 원두커피, 금융·택배서비스 등으로 진화하며 선택의 폭을 넓혔다.

업계는 1~2인 가구와 고령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국내 편의점 시장은 2030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점포당 매출이 아직 일본의 4분의 1 수준인 것도 성장 여력이 있다는 반증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편의점 수는 현재 5만5천600여 개에 이른다.

씨유(CU) 관계자는 “유통관련 규제와 저성장 기조 등으로 소매업 전반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1~2인 가구 증가와 이에 따른 근거리 소량구매 패턴의 확산으로 편의점 시장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