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국가경제 종합적 파악… HDI 네 가지 지표로 작성

GDP 국가경제 종합적 파악… HDI 네 가지 지표로 작성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4-03 23:38
업데이트 2017-04-03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발전 측정지표 어떤 게 있나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보여주는 ‘국내총생산’(GDP)은 경제학에서 ‘최고의 발명품’으로 여겨진다.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GDP 통계 산출이 미국 상무부의 20세기 최대 업적”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GDP는 1930년대 초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가 개발했다. 이 공로로 쿠즈네츠는 197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GDP 통계가 개발되기 전에는 철도 운송량, 철강 생산량 등 파편적인 개별 지표로만 경제산업 규모를 추정했다. 전체 경제상황을 알기 어려워 정책을 세우는 데 애를 먹었는데, 대공황이 닥치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쿠즈네츠에게 국가의 수입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1년 동안 한 나라에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모두 더한 GDP 개념이 탄생하면서 정부는 종합적인 경제 흐름을 파악하고 통화·재정 정책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쿠즈네츠는 역설적으로 GDP의 한계를 지적한 사람이기도 하다. 그는 “양적인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GDP가 질적인 경제성장까지 담보할 수 없다”며 “특히 경제성장이 불평등을 저절로 해소해 주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1970년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웰빙은 감소하는 ‘이스털린의 역설’ 현상이 나타났다. 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현재 나와 있는 국제적 삶의 질 지표로는 유엔의 ‘인간개발지수’(H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더 나은 삶의 지수’(BLI) 등이 있다. 유엔 세계행복보고서(WHR)도 활용된다. 유엔 HDI는 기대수명,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총소득(GNI) 등 4가지 지표로 작성돼 100여개 이상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다. BLI는 11개 영역의 24개 지표로 구성된다.

통계청과 한국삶의질학회가 지난달 발표한 ‘국민 삶의 질 종합지수’는 우리나라 특성에 맞춰 설계된 지표다. 12개 영역 80개 지표를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삶의 질은 2006년보다 11.8% 상승했다. 그러나 이는 같은 기간 1인당 GDP 증가율(28.6%)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4-04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