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국민에 책임 전가하나”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피크 시간대에 할증요금제가 도입되고 공장 등 산업체들은 의무적으로 전기를 최대 10% 아껴야 한다. 정부가 올겨울 전력난을 우려해 전력 수급 대책을 내놓았으나 원자력발전소 고장 등에 따른 수급의 책임을 결국 국민과 기업에 떠넘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에너지 대책 발표날… 상점안은 난방 ‘빵빵’
정부가 에너지 절약 대책을 발표한 16일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상점 직원이 지나친 난방으로 반팔 유니폼을 입은 채 일을 하고 있다. 정부의 대책은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시간에 할증요금제를 도입하고 공장 등이 의무적으로 전기를 10%까지 감축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지난해 대책과 비교해 피크 요금제를 도입하는 등 달라진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이번 대책은 지난해보다 강제 절전 참여 업체 수와 제한 폭을 줄였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의문시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실제로 10% 강제 절전 대상을 올해는 지난해(1000㎾ 이상 1만 4000곳)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3000㎾ 이상인 6000곳으로 한정했다. 또 기간도 지난해는 12주였지만 올해는 7주로 줄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11-1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