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침체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는 가운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13~2018년 2.4%로 떨어지고 중국의 GDP 성장률도 같은 기간 5.3%로 추락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미국 민간 경제조사기관인 콘퍼런스보드(CB)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 2013’ 보고서에서 세계경제가 2013년부터 2025년까지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CB 측은 “성장률에 대한 전망은 GDP 성장에 노동과 자본, 생산성 사용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평가하는 회계 모델을 이용해 이뤄졌다.”며 “이를 33개 선진국, 22개 신흥국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2년 연평균 3.6% 성장한 한국은 2013~2018년 2.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최악의 상황에서는 1.5%까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019~2025년에는 1.2%로 하락하며, 최대 0.5%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2006~2012년 9.9% 성장한 중국은 2013~2018년 5.3% 성장률이 예상되지만 최악의 경우 3.4%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중국은 또 2019~2025년에는 3.6%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최악의 경우 2.5%로 추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미국 민간 경제조사기관인 콘퍼런스보드(CB)가 13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 2013’ 보고서에서 세계경제가 2013년부터 2025년까지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CB 측은 “성장률에 대한 전망은 GDP 성장에 노동과 자본, 생산성 사용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평가하는 회계 모델을 이용해 이뤄졌다.”며 “이를 33개 선진국, 22개 신흥국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12년 연평균 3.6% 성장한 한국은 2013~2018년 2.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최악의 상황에서는 1.5%까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019~2025년에는 1.2%로 하락하며, 최대 0.5%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2006~2012년 9.9% 성장한 중국은 2013~2018년 5.3% 성장률이 예상되지만 최악의 경우 3.4%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중국은 또 2019~2025년에는 3.6%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최악의 경우 2.5%로 추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11-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