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유업계 지각변동 예고

국내 정유업계 지각변동 예고

입력 2010-09-07 00:00
업데이트 2010-09-07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 “현대오일뱅크 주유소가 눈에 잘 안 띄죠. 그동안 외국계 대주주가 시설투자보다 배당금을 받는 데에만 신경쓰다 보니까 많이 뒤처진 것 같습니다. 이제 ‘현대 가족’이 됐으니 투자도 늘리고, 자동차와 카드 연계 마케팅도 해야 되지 않을까요.”(현대중공업 임원)

이미지 확대
●현대종합상사와 시너지효과 기대

국내 정유시장에 적지 않은 판도 변화가 예상된다. 11년 만에 현대 품에 다시 안긴 국내 4위 정유사 현대오일뱅크가 대대적인 설비투자에 나설 계획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석유화학업체인 삼성토탈도 정유·가스업 진출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어서 예사롭지 않은 상황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오일뱅크가 현대중공업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제2고도화시설 및 방향족(BTX) 및 파라자일렌(PX) 설비 증설 관련 투자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래도 2조 1000억원가량의 고도화시설 투자비용 조달에 한결 부담을 덜었기 때문이다. 현대오일뱅크로서도 경영 역량을 다른 부문으로 돌릴 수 있는 여유가 생겼다. 이는 생산제품 다각화, 또 수익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현대중공업 측은 최신식 고도화시설을 갖춘 석유화학공장을 보유한 것이 해외에서 대형 플랜트사업을 수주할 때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오갑 신임 현대오일뱅크 사장은 얼마전 취임식도 생략한 채 충남 대산공장에 내려가 고도화설비 공사의 진행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계열사인 현대종합상사와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현대오일뱅크의 석유제품 수출 비중은 30%대로 다른 정유업체보다 낮은 수준이다. 해외자원개발 경험도 전무하다. 그러니 현대종합상사의 해외 판매망과 자원개발 역량이 현대오일뱅크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유업이 내수시장에서 정체 상태라 급격한 순위 변동은 어렵다.”면서도 “그렇지만 현대카드와의 제휴나 주유소 확대 등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정유업계는 석유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는 삼성토탈의 행보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삼성토탈은 이번 주 안에 지식경제부에 석유정제업 등록을 한다고 6일 밝혔다. 기존 정유업체에 비해 아직 생산량 규모는 미미하지만 대기업 계열의 ‘제5의 정유업체’가 등장하는 것이다.

●일부선 삼성 브랜드 등장 우려

항공유와 휘발유 등을 생산해 수출하는 등 최근 에너지사업을 확대해 온 삼성토탈은 석유정제업이 아닌 석유수출입업과 부산물판매업자로만 등록돼 정유업계에서는 형평성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3%의 관세를 물고 원유를 수입해 정제하는 정유업체와 달리 삼성토탈은 무관세로 천연가스액(NGL)을 들여와 석유제품을 생산했기 때문이다.

일부에선 이런 문제 제기가 삼성이라는 브랜드를 내건 5번째 정유업체 등장을 우려하는 기존 정유업계의 견제로 보기도 했다. 생산량은 미미해도 ‘삼성’이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다고 분석한다. 삼성토탈이 정식으로 석유정제업으로 등록해 업계로 뛰어든 만큼 삼성토탈의 향후 행보에 대한 정유업계의 긴장과 견제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09-07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